본문 바로가기

칼럼모음/다산 칼럼 모음

(358)
지혜보다는 우직함을 409 일반적으로 어리석기야 쉽지만 지혜롭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논어』에서 공자는 지혜로움이야 따라갈 수 있으나 어리석음은 따라갈 수 없노라는 역설적인 말을 합니다.(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 公冶章)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해석하여 인간의 모범적인 행위규범으로 삼느냐가 다름 아닌 경..
미국은 세계의 경찰인가? 277 지난 3월 20일로 이라크 전(戰) 발발 4주년을 맞았다. 2001년 9월 11일 저 끔찍한 테러가 발생한 9일 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지구상의 모든 테러 그룹을 찾아내 저지하고 패퇴시킬 때까지 전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이른바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그로부터 약 1년 반 후인 2003년 3월 20..
정치인을 검증하는 새 잣대 276 대통령 후보가 되려는 한나라당의 이명박 씨와 박근혜 씨 두 사람에 대해서 검증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대통령 후보가 되려는 사람이라면 마땅히 도덕적으로 흠이 없는지, 흠을 거짓말로 감추고 있지 않은지, 무능력을 숨기고 있지 않은지, 국가관은 바른지 검증해야 할 것..
음악을 잘 아는 왕, 정조(正祖) 제42호 (2007.4.25) 조선왕조는 예악정치를 표방하였다. 예악(禮樂)의 ‘예’가 질서를 위한 것이라면 ‘악’은 화합을 위한 것이다. 예는 행실을 절도 있게 하고 악은 마음을 온화하게 한다. 절도는 행동을 절제하고, 온화함은 덕을 기른다. 이 둘은 적당한 수위를 지녀야 한다. 예가 지나치면 멀어지고, ..
신(新) 십만양병론 272 임란이 발발하기 10년 전, 병조판서였던 율곡은 임금에게 “국세가 부진한 것이 극도에 달했으니 십년이 지나지 않아서 마땅히 토붕와해(土崩瓦解)의 화가 있을 것입니다. 원컨대 십만의 군병을 미리 길러 도성에 2만 명, 각도에 1만 명씩을 비치하고는 호역을 면제하여 재간자를 교련하여 6개월로 ..
간난과 고독 속에 얻은 학문공동체 제38호 (2007.3.28) 정 출 헌(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1801년 겨울, 다산은 유배지 강진에 도착했다. 거기는 더 이상 발 내디딜 곳 없는 남도의 끝자락이었다. 다산은 그곳에서 18년이란 긴 세월을 보낸 뒤, 겨우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 간난의 기간 동안 다산은 그곳에서 무엇을 했던가? 우리는 그가 ..
디지털 교과서 269 교육부가 지난 3월 9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교과서, 참고서, 문제집, 사전, 공책 등의 기능을 통합한 단말기로 기존의 종이책 교과서를 대체 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년까지 5년 동안 660억 원을 투입하여 2013년부터는 전국 초·중·고교에 전면적으로 ..
다산과 괴테 399 지난 연말에 비엔나 대학의 김신자 교수가 『정다산의 철학사상』이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독일어로 다산철학의 연구서를 간행했습니다. 어떤 신문은 ‘다산사상의 유럽 상륙’이라는 제목으로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다산에 관한 연구서가 영어로는 간행된 바 있으나 독일어로는 처음의 일이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