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모음

(2287)
돈 버는 법 061031 안녕하세요. 가벼운 책이지만, 이따금 값어치 있는 책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행정학 석사를 마치고 증권, 유통, 산업, 금융 분야에서 16년간 일해온 경제 전문기자의 눈에 부(wealth)와 부자들(riches)은 어떻게 보일까? 아주 간편하게 ..
고독한 리더, 정조(正祖)대왕의 학문과 인간됨 제21호 (2006.11.1) 고독한 리더, 정조(正祖)대왕의 학문과 인간됨 장 승 구(세명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동서양의 역사를 둘러보아도 정조대왕(正祖, 1752-1800) 만큼 학문과 덕을 아울러 갖춘 군주는 드물다. 조선후기 실학이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정조의 학술장려 정책이 큰 힘이 되었다. 실학을 집대..
반말 효과 227 반말 효과 친구를 따라 용하다는 점집에 갔다온 사람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다. 점쟁이가 그 친구를 똑바로 쳐다보며 대뜸 "너 애인 있지?"하고 묻더라는 것이다. 결혼해서 아이 낳고 집안 잘 돌보며 살고 있는 그 친구가 워낙 참하고 얌전해서 에이, 설마, 싶었는데, 정작 당사자는 얼굴이 빨개지면서..
서학(西學)과 서교(西敎) 360 서학(西學)과 서교(西敎) 다산의 글을 읽어가다 보면 정조대왕의 훌륭함을 금방 알아낼 수도 있지만, 당시 정조대왕을 보필하면서 이른바 ‘문예부흥기’를 만들어가던 학자들의 뛰어남과 선진적인 생각이 얼마나 훌륭했던가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높은 벼슬인 영의정이라는 지위에 있으면..
신유교옥(辛酉敎獄)과 갑신(甲申)개혁 361 신유교옥(辛酉敎獄)과 갑신(甲申)개혁 서교(西敎)와 서학(西學)을 구별도 못하고 정치적 반대파들의 몰락만을 추구하던 정조시대의 벽파(派)와 공서파(攻西派)들은 1801년 신유옥사를 일으켜 300여 명의 백성들을 죽였다고 「황사영백서」는 증언하고 있습니다. 이 해가 1801년이니 쇄국정책의 어리석..
호시우보(虎視牛步) 228 호시우보(虎視牛步) 북한이 6자 회담에 다시 참가하겠다고 밝혀 북 핵실험 이후 고조됐던 한반도 위기상황은 잠시 숨 고르기 들어갔다.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를 비롯하여 미국의 북한 고립화 강화, 중국과 한국의 에너지 및 경제지원 감축 등의 사태에 직면하여 북한이 시간 벌기에 나선 것..
조용하지만 강한 실학자, 이덕무 제22호 (2006.11.8) 조용하지만 강한 실학자, 이덕무 신 병 주(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 ‘코드인사’ 문제로 바람 잘 날 없는 요즈음의 정국에서, 정조시대의 ‘발탁 인사’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정조는 노론 보수 세력의 계속된 방해 때문에 힘겹게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왕위에 오른 후에..
성공의 전제조건 061111 안녕하십니까. 토요일 아침에 신간을 읽다가 가슴에 와닿는 대목을 보내드립니다. 글을 쓴 사람은 슈테파니 그라프(Stefani Graf)로 88서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그랜드슬램 대회에서 22회 우승을 한 인물입니다. 그는 운동선수로서 보기 드물게 문학과 예술 등에 조예를 가진 인물이기도 합니다. 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