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4461)
[교회용어 바로 알기] 헌금 vs 연보 국민일보 2018-03-12 00:03 교회용어 중엔 기독교인에게조차 어색하고 낯선 말이 많습니다. 이제 교회는 우리만의 단어가 아닌 세상과 소통하는 용어나 말을 사용해야 합니다. 미션라이프는 매주 1회 ‘교회용어 바로 알기’를 연재합니다. 이상윤 한세대 외래교수의 설명으로 낯선 교회용어나 말을 친절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교회에서 헌금과 연보라는 말을 혼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대다수 교회가 헌금하는 통을 ‘헌금함’이라고 부르지만 적잖은 교회에선 ‘연보함’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헌금과 연보는 어원과 단어의 쓰임에 많은 차이가 있다. 헌금(獻金·offering)은 성경에서 주로 ‘고르반(qorban)’과 ‘도라(dora)’라는 두 개의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고르반은 ..
돈 없이 교회를 성장시키는 8가지 방법 예수.코리아 21.07.13 06:05 돈 없이 교회를 성장시키는 8가지 방법 수많은 교회들이 사역의 푯대를 이루기 위해 많은 이들을 전도하기 원한다. 그러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다수의 교회들이 교회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우리가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비전이 재정적 자원보다 항상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사람과 돈을 기다리고 있다면 영원히 기다려야 할 것이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배리의 코넥석스교회 담임인 캐리 니후프(Carey Nieuwhof) 목사가 처치리더스에 비용이 들지 않는 교회 성장 전략에 관한 글이 눈길을 끈다. 다음은 돈 없이 교회를 성장시키는 8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 관계 전도하기 우리 주변에 있는 이웃과 친구를 전도해보자. 우리가 얼마..
[교회용어 바로 알기] ‘성가대와 찬양대’ ‘성가’는 일본식 표현… 하나님께 영광 드리는 ‘찬양’ ‘찬양대’로 써야 국민일보 2018-04-16 00:03 성가(聖歌)는 거룩한 노래라는 의미로 세속적인 노래와 구분하기 위해 쓰여 왔다. 예배 중에 특별한 순서로 화음을 맞춰 찬양하는 합창단을 성가대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성가와 성가대라는 말은 성경적인 의미와 한국기독교 전통과는 거리가 멀다. 성경에는 찬송이라는 단어가 208번, 노래 176번, 찬양 83번, 찬미 13번 등장하지만, ‘성가’는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초기 한국기독교는 성가라는 말이 아닌 찬양이라는 말을 썼다. 1892년 존스(G H Jones)와 로드와일러(L C Rothweiler) 선교사는 당시 성도들에게 많이 불리던 찬양을 모아 최초로 ‘찬미가’라는 찬양곡집을 출판했다..
'PASTOR'와 'MINISTER'의 차이점과 성경적인 분석 예수.코리아, 21.07.10 05:07 'PASTOR'와 'MINISTER'의 차이점과 성경적인 분석 “PASTOR”와 ”MINISTER“는 둘 다 목사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PASTOR”는 “PRIEST” 라는 단어가 파생되어진 것인데 이 “PRIEST”는 비록 목사라는 의미도 있지만 로마 카톨릭의 신부와 사제를 의미한다. 그러기에 “PRIEST” 가 파생되어진 “PASTOR” 는 목사라는 의미를 칭하고 있기는 하지만 로마 카톨릭의 잔재(殘滓 - 쓰고 남은 찌꺼기)가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그 이유인즉슨 “PASTOR”의 의미 중에 ‘주임사제’ 라는 뜻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MINISTER”는 봉사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종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에베소서 4장 11절에 “그가 혹..
αλλοs(알로스)와 ἐτεροs(헤테로스)의 차이점과 의미 예수.코리아, 21.07.10 05:09 αλλοs(알로스)와 ἐτεροs(헤테로스)의 차이점과 의미 요한복음 14장 16절로 17절 상반부에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 저는 진리의 영이라.”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말씀속에 기록되어 있는 "다른" 을 헬라어 원어 성경으로 보면, 헤테로스(ἐτεροs)가 아닌 알로스(αλλοs)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알로스는 종류와 질적인 차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종류와 본질이 같아서 전혀 차이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알로스를 영문으로 표기하면 "another of the same nature"인데, 이 의미는 "같은 성격의 다른" 입니다. 그러므로 이 말씀 속에 기록되어 있는 "다..
창세기 6장의 하나님의 아들들은 누구인가? 예수,코리아 2021.06.29 04:23 창세기 6장의 하나님의 아들들은 누구인가? 이 모양 저 모양으로 믿는 모든 자들이 합리적으로 이성적으로 자유의지를 가지고 그러한가! 아니한가! 판단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성경적, 그리고 역사적 진실 글을 올립니다. 유익이 있기를 바랍니다. 역사의 변천과정에서 성경은 이러한 사실성을 명확하게 내포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과 세계도처에서 오파츠로 분리하여 나타난 여러 기록과 증거물들을 생각해 보시고 성경은 무어라 말하는지 검토해 보기를 바랍니다. 현재로써는 교계나 세상의 역사에서는 감추길 바라는 불편한 진실이기도 합니다. 사탄과 그들의 세력, 프리메이슨, 일루미나티, 예수회를 포함한 로마가톨릭에서 이것을 드러내기 원치 않습니다. 교계도 세상 ..
바른 예배에 대한 개선안 예수,코리아 21.06.27 06:05 (밴쿠버 두레교회 하영찬 목사) 바른 예배에 대한 개선안 제 1 장 서 론(序論)제 1 절 연구동기(硏究動機)와 목적(目的)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인간을 만드셨다. 그렇게 하신 것은 예배를 통해서 자유의지에 의한 이성이 있는 인간과 교제하시기 위함이다. 그래서 그 목적에 따라 지음 받은 인간이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인간의 도리(道理)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신 것도 각 사람이 전심으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거룩함을 찬양하고 예배하면서 역동적으로 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우리가 하나님께 인도되고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 것 또한 하나님을 예배하고 승모하기 위함이다.1)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예배를..
오프라인? 온라인? 중요한 건 예배의 본질 예수,코리아 21.06.27 06:06 오프라인? 온라인? 중요한 건 예배의 본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가 14일 경기도 용인시 소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층 강당에서 ‘미디어 예배와 신학적 성찰’이라는 주제로 제39회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온라인 줌(Zoom)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개회예배는 오현철 목사(성결대)의 사회로, 박태현 목사(총신대)의 기도, 정인찬 총장(웨신대)의 설교, 박성환 목사(한국성서대)의 광고, 이승진 목사(합신대)의 축도 순서로 진행됐다.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받으라’(골3:10~11)라는 제목으로 설교한 정 총장은 “앞으로의 한국교회, 예배, 차세대 목회와 사역에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면 얼마나 뜻 깊은 모임이 되겠는가”라며 “침체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