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학교 확대 - 신중해야
과학고 문제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 확대정책 결정에 신중해야 합니다.
신중히 하자는 것이 허송세월은 아닙니다.
조선일보 입력 : 2007.01.13 01:58
- 미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선진국들이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창의성 영재교육을 강화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국내에서는 제2의 과학영재학교 설립조차 지지부진, 논란이 되고 있다. 중앙정부 및 시·도 간의 입장 차이와 시·도 교육청 간 이해다툼 때문에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 경기, 대전 3개 시·도와 교육청은 오는 2008~2009년 개교를 목표로 과학영재학교 설립에 착수, 지난해 11월 교육인적자원부에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고, 일부 학교는 이미 공사까지 시작했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 부산시교육청 등이 ‘시기상조’라는 이유를 들어 사실상 반대하고 나서면서 개교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현재 국내 영재학교는 부산의 ‘한국과학영재학교’가 유일하다.
12일 본지가 단독 입수한 3개 교육청의 과학영재학교 운영 청사진에 따르면 과학영재학교는 학년 구분이 없는 무학년, 학점제로 운영되고 졸업연구논문도 제출해야 한다. 프로젝트 연구 중심으로 수업이 이뤄지며 대학교수나 박사급 연구원이 직접 지도에 나선다. 신입생은 전국 단위로 모집하고 졸업 후엔 서울대, 포항공대 등 주요 대학과 협약을 통해 무시험 특별전형 입학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추진 일정이 가장 빠른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기존의 서울과학고를 2008년 3월부터 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하는 대신 구로구 궁동에 새 과학고를 개교(2008년 3월)하기로 하고, 이미 공사를 진행 중이다.
또 경기도교육청은 오는 2009년 경기과학영재학교를 별도로 신설키로 했고, 대전교육청은 2008년 대전과학고를 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하겠다고 교육부에 신청했다. 교육부 산하 중앙영재교육진흥위원회도 지난해 12월 27일 회의를 열어 과학영재학교 추가 설립에 찬성했다.
그러나 이런 일선 교육청의 적극적인 움직임과는 달리 정작 중앙정부는 애매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사업 진척이 난항을 겪고 있다. 교육부의 입장은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가 이제 첫 졸업생을 배출한 상황에서 추가 설립을 결정하기엔 이르다”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제부터 정책연구를 맡기고 공청회도 개최할 계획”이라며“2008년 개교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부도 비슷한 견해다. 국가 차원에서 장기적 안목에서 큰 그림을 보고 진행해야 한다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다. 여기에 부산시교육청과 한국과학영재학교도 “국가적 합의 없이 지역마다 영재학교를 만드는 것은 낭비”라며, 제2 과학영재학교 설립에 반대하고 있다. 시·도 간 힘겨루기 양상으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박제남 인하대 교수(수학과)는 “각국들이 향후 100년간 나라를 먹여 살릴 핵심 영재 육성에 경쟁적으로 나서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아직 청사진조차 갖고 있지 않아 큰 문제”라고 말했다.
'정책 > 영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일보 '과학영재고 추진 3곳 정부반대로 허송세월' 보도 사실과 달라 (0) | 2007.01.18 |
---|---|
“영재, 초일류 교육 등 선진형 교육패턴을...” (서상기의원) (0) | 2007.01.15 |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유승희 의원 인터뷰 기사 (0) | 2007.01.08 |
“영재 찾으러 러시아 전역 돌아다녔어요” (0) | 2007.01.06 |
[시론] 과학의 창의력은 미래 한국의 희망... (0) | 200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