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조선일보 '과학영재고 추진 3곳 정부반대로 허송세월' 보도 사실과 달라

                                   <뉴스클리핑2007. 01.16>

                                                                              [뉴시스]

교육인적자원부] 조선일보 '과학영재고 추진 3곳 정부반대로 허송세월' 보도 사실과 달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98&article_id=0000199603§ion_id=117&menu_id=117

□ 언론사명: 조선일보

□ 일 시: 2007. 1. 13(토) 1면

□ 제 목:「과학영재고 추진 3곳 정부반대로 허송세월」

□ 주요 내용


서울, 경기, 대전 3개 시·도와 교육청은 오는 2008-2009년 개교를 목표로 과학영재학교 설립에 착수, 지난해 11월 교육인적자원부에 지정신청서를 제출했고, 일부학교는 이미 공사까지 시작했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 부산시교육청 등이 시기상조라는 이유를 들어 사실상 반대하고 나서면서 개교여부가 불투명해졌다.


□ 교육인적자원부 입장


<영재학교 정책에 대한 오해>

영재학교는 출발단계에서부터 '정부주도 형태의 극소수로 한정'하기로 한 바 있음.

- 영재교육법 시행을 앞두고 정책조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 영재학교 설립논의가 발표되면서 국민에게 혼선을 야기한 바가 있어서, 정부차원의 조기 입장 정리로 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재학교 운영 기본방향'을 수립(2001.6)한 바 있음.


<영재학교 운영 기본방향>

ㅇ 목표지향적 영재학교: 국가전략분야 인적자원 조기개발, 수요·공급자간 공동 필요에 의한 영재교육

ㅇ 자원의 최적 활용: 기존 학교 인프라 최대 활용, 소유·운영 분리 개념 도입

ㅇ 부처간 역할 분담: 교육인적자원부는 총괄조정, 관련부처는 전문분야 영재육성

ㅇ 예상문제 사전대비: 일류대 입학 창구화 예방, 단계적·점진적 시행


<영재학교 기본 형태>

ㅇ 관련부처·시도교육감(과학고 등)·대학간 협약에 의한 영재교육 프로젝트 형태로 추진

ㅇ 극소수 정부주도 형태로 한정

ㅇ 국가전략분야, 고교과정 중심으로 운영

ㅇ 대학과 전문분야 교육에 관한 통로 마련

ㅇ 과학고 등 기존학교 틀에 영재교육 이식


이미 수립·공포된 국가 전체적인 영재학교 정책에 근거하지 않고 시·도 및 교육청 단위에서 경쟁적으로 영재학교 설립을 천명하는 것은 대다수 국민에게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일류대 입학 창구화를 예방하기 위하여 단계적·점진적으로 시행하고자 하는 국가 영재학교 정책의 기조를 훼손하는 것이므로 자제할 필요가 있음.


<정부가 영재육성에 대한 청사진을 갖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하여>

정부는 영재육성계획을 수립, 일관성 있게 추진하여 오고 있으며, 특히 많은 국민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영재학교 정책은 장기적 전망에 따라 철저한 준비를 거쳐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함.

- 영재학교 운영 기본방향('01.6, 교육부)

- 국가전략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추진방향('01.8, 교육부)

- 영재교육진흥법('02.3) 및 시행령('02.4) 시행

-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2.11)

-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수월성교육종합대책('04.12)

-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06-'10)('06.1)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