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 국제 학력평가(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Assessment)에서 한국 학생들의 과학 성적이 세계 11위인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최상위권(이번 평가결과 상위 5%에 해당하는 학생)의 과학 성적은 이보다 더 낮은 17위로 추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03년 2위에서 15단계 떨어진 수치로 한국의 엘리트 과학교육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보여준다.
4일 발표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PISA 최상위권 학생 과학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57개국 중 17위를 차지했다. 2000년에는 5위였다.
4일 발표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PISA 최상위권 학생 과학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57개국 중 17위를 차지했다. 2000년에는 5위였다.
또 한국의 과학 최상위권 성적을 얻은 학생비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영역 최상위 수준인 레벨 6에 속하는 점수를 얻은 한국 학생은 한국 조사 대상(5000명) 중 1.1%로 57개국 중 18위에 그쳤다. 뉴질랜드가 대상 학생의 4%가 레벨 6에 속해 가장 높았고 이어 핀란드(3.9%), 영국(2.9%), 호주(2.8%), 일본(2.6%) 순이었다.
성균관대 양정호 교수는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학교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공교육이 경쟁력을 잃은 것이 상위권 학생의 과학 성적 추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성균관대 양정호 교수는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학교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공교육이 경쟁력을 잃은 것이 상위권 학생의 과학 성적 추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입력 : 2007.12.05
'정책 > 영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년을 빛낸 70가지 아이디어 (0) | 2007.12.11 |
---|---|
세계 로봇 분야 동향 및 미래전망 (0) | 2007.12.06 |
따뜻함이 그리운 시기, iCandle (0) | 2007.12.05 |
창의력 높이기 (0) | 2007.12.04 |
“노키아는 미래위원회의 작품” (0) | 200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