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일회적 판별 - 여러 종류의 검사를 실시, 각각 비중을 달리함
나. 다단계적 판별 -단계별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검사를 실시하고, 단계별로 대상자 수가 줄어듦. -보다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관찰 가능.
둘째. 몇 가지 이론
가. Fox(1976) -1단계: 집단지능검사, 관찰 등을 통해 영재성이 보이는 학생 선별, 선별단계. -2단계: 개인지능검사, 창의성검사, 학문적성검사, 표준화 검사 등을 실시, 변별 단계. -3단계:프로그램에 정치 후 관찰 정치단계.
나. 조석희(1996) -1단계: 학업성취기록, 행동관찰. -2단계: 표준화된 지능검사, 적성검사, 흥미검사, 창의성 검사, 학업성취검사 등. -3단계:전문가에 의한 문제해결과 정 관찰, 평가 -4단계: 프로그램에의 배치 및 관찰평가.
다. 김흥원(1996, 1997)- 수학영재 판별 절차 -1차 판별: 1-~15% 선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자료 이용: 교사 관찰, 학업성적, 지능지수 등 -2차 판별: 5% 선발. 표준화된 검사도구나 특별한 검사 실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책 검사. -3차 판별: 최종 인원 선발. 고난도의 문제나 활동 제공하고 전문가가 수행 행동 관찰, 면접 캠프나 합숙 등의 방법 사용
라. 렌줄리(1996) -1차 판별: 표준화 검사 결과 50%, 교사추천 50%. 지역 내에서 2%이내, 전체점수보다 특수영역에서 우수자 선발. -2차 판별: 3부 심화 학습에서의 행동관찰을 통해 판별. 재능풀(Talent Pool):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재능풀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