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505)
과학기술, 리더십을 만나다 제8회 새로 보는 과학기술 포럼 취지문 인간과 예술, 사회, 종교, 고령화 사회, 여성, 미디어를 만난 과학기술이 이번에는 리더십을 만난다. 과학기술부(부총리 김우식)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사장 나도선)은 '과학기술, 리더십을 만나다' 포럼을 11월 7일 개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과 다른 분야와의 연..
과학기술에 애정 가진 대통령을 2007.10.29 ⓒScience Times 이덕환의 과학문화 확대경 (110) 대선 열기가 달아오르면서 국가 지도자의 리더십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사회의 발전이 과학기술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반세기 전 미국은 과학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서 스푸트니크 ..
블로그 왜하나 어느 유명 블로거의 ‘나는 왜 블로그를 하나’ [중앙일보] 자아 분출? 여론 읽기? 목적이 없어야 목적이 달성되는 역설 가상 공간을 중심으로 ‘끼리 문화’를 형성했던 블로거들의 영향력이 이제 기존 언론을 위협할 정도로 커졌다. 단순한 끄적거림이 서서히 일상을 파고들면서 일부 블로거는 ‘블..
산만한 아이' 간접흡연 때문? 연합뉴스 2007.10.16 흡연자 어머니를 둔 아동의 경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가 의심되는 비율이 비흡연자 어머니를 둔 아동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환경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단병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단국대 권호장 교수팀은 작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10세 ..
방사선동위원소 이용 "핵의학"과 안전성 핵의학 이야기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영국과 독일에 이어 세계 3대 강국이라 할 수 있는 프랑스에서 배출한 노벨 과학상(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자는 불과(?) 8명이었다. 그 중에서 퀴리 가족이 수상한 것이 모두 5회였으니 노벨상 역사상 최고의 '노벨상 집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퀴리 가..
수소시대(Hydrogen age)는 올 것인가? 올해도 무척 더운 여름을 겪었다.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를 걱정하면서 탄산가스 등 온실가스의 점증하는 글로벌적 과다배출이 지구의 온실효과를 가속시키는 원인이라고 말한다. 이렇듯 화석에너지에 길들여진 인간은 석유에너지의 간편성과 이에 맞는 산업과 사회의 전통적 인프라, 그리고 그러..
“우리나라, 에디슨 과학에만 너무 빠져 있다” 사이언스 타임즈 원로물리학자 김정욱 교수가 던지는 苦言 (4) 수학이라는 수의 학문을 통해 자연과 우주의 섭리를 신묘막측(神妙莫測)하게 풀어나가는 물리학.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물리학은 과학의 최고봉으로 일컫는다. 물리학 속에는 아름다운 우주와 자연의 신비가 있고 인생이 있다. 하늘의 ..
[사이언스 에세이] 쓸모없고 설명 힘든 기초과학 한국일보 2007.10.7 초정밀 레이저분광기술로 200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테오도로 핸슈 교수는 노벨상 수상 기념강연 중 재미있는 그림을 하나 보여줬다. 어미 닭이 앞에 놓인 반원 모양 창살 건너편에 떨어진 모이를 쪼려고 하지만 창살에 막혀서 더 이상 나아갈 수가 없다. 한편 병아리는 호기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