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코리아 20.12.18 01:22
성서에는 기독교인이 정부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있고, 정부 조직들이 예수와 다른 성서 교사들에 의해 강력히 긍정되고 있다. 하지만 신자의 기도생활에서 정치 문제가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는 성서에 언급된 것이 없다. 이 장에서는 정치가와 정부를 위해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 지 알아가겠다.
특정한 통치자들을 위해 기도하라는 명백한 명령이 에스라 6장 10절에서 발견된다. “그들이 하늘의 하나님께 향기로운 제물을 드려 왕과 왕자들의 생명을 위하여 기도하게 하라” 정치가들을 위한 우리의 기도는 심지어 악한 통치자들에게도 확장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마태복음 5장 44절에 명백히 나타난다. 그곳에서 예수는 “박해하는 자를 위해 기도하라”고 명령한다. 누가복음 6장 28절에서 예수가 “너희를 모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라고 말한다.
정부를 위해 기도하라고 명령하는 본문은 오직 하나다. 디모데전서 2장 1~3 절에서 바울의 명령은 명백한 지침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 이것이 우리 구주 하나님 앞에 선하고 받으실 만한 것이니
우리에겐 정부를 위해 어떻게 중보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델이 없다. 마태복음 6장에 있는 주의 기도는 정치권력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 영역에서 몇 가지 지침과 제안을 발전시킬만한 충분한 교훈이 있다.
정치가와 정부를 위한 기도의 방법
우리의 기도제목 속에 정부와 관련된 특정한 목록은 무엇인가? 기도제목 중의 몇 가지는 국가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다음의 목록은 유용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1. 우리는 통치자들이 인격적으로 훌륭하게 행동하도록 기도해야 한다.
정부가 평화롭게 역할을 하려면, 대중의 신뢰와 확신이 필요하다. 통치자의 훌륭한 인격의 중요성은 성적 행동,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대우 그리고 선거공약에 대한 헌신 같은 영역으로까지 확장된다.
2. 우리는 통치자들이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공정하게 통치하도록 기도해야한다.
우리는 자신들의 일을 평가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그들이 전력을 기울여 공평하게 통치하도록 그리고 그들이 정당하다고 아는 일을 용기있게 실천하도록 기도해야 한다.
3. 우리는 정부가 자신의 시민을 위해 베풀도록 기도해야 한다.
로마서 13장 4절의 메시지는 매우 강력하다. 즉 통치자는 “네게 선을 베푸는 자니라” 선을 베푸는 것은 국민의 가장 절박한 필요가 무엇인가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지닐 수 있다. 고충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적절하게 다루려고 애쓰며, 곤경에 처한 사람들을 돕고, 꼭 필요한 혜택을 베풀며 안전과 보호를 제공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기도의 핵심은 정부가 그들이 실천해야 할 선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그것을 헌신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4. 우리는 통치자들이 그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과업을 올바로 수행할 수 있는 건강과 힘을 위해 기도해야 한다.
정부 지도자들이 인간적 차원에서 칭송을 받지만, 그들 또한 전형적인 약함과 질병을 지닌 평범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엄청난 책임을 지고 있으며, 따라서 건강하고 힘이 있어야 한다. 그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기도하는 것은 옳은 일이다.
우리가 권세 있는 자들을 위해 기도하라는 성서적 가르침에 충실하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런 기도 속에 통찰과 인도를 위해 하나님께 간절히 구한다면 틀림없이 그는 우리가 통치자들을 위해 지혜롭고 효과적으로 기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이다.
* 이 글은 존 레테콥의 『기독교 정치학』 내용 중에 ‘12장 기독교 정치가와 정부를 위해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pp.210~220) 부분을 도서출판 「대장간」의 허락을 받아 발췌 및 요약하여 게재했습니다
'교육자료 > 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번 성탄 축하(누가복음 2:8-20) (0) | 2020.12.25 |
---|---|
회개에 대한 오해 (0) | 2020.12.19 |
"교회 폐쇄법", 무엇이 사실인가? (0) | 2020.12.14 |
21세기 한국 개혁교회의 교회상 (0) | 2020.12.13 |
병든 형제를 위한 기도 (0) | 202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