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시평] 이명박 대통령에 거는 기대 | |||||||||
끝까지 초심 잃지 않길 침체된 사회분위기 바꿔야 | |||||||||
이제까지 살아왔던 삶이 '불꽃이었던 것처럼' 국가경영을 맡은 향후 5년 동안도 오로지 국가와 민족의 번영을 위해 불꽃처럼 살았던 나날로 기억되기를 소망한다. 한국 근현대사를 통틀어서 보면 국가가 국민을 위해 무엇인가를 잘 도와주었다기보다 부지런한 국민 개개인이 억척스러울 정도로 자기 운명을 개척해 왔고 그 결과로 이 정도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고 본다. 지난 10여 년 세월에 대한 공과 과는 사람에 따라 다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더욱더 잘 할 수 있었는데'라는 아쉬움을 가진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본다. 임기 5년은 절대적인 시간 면에서 그렇게 길지 않다. 하지만 시간은 얼마든지 2배, 3배 정도로 늘려서 사용할 수 있음을 우리는 잘 안다. 이런 점에서 군과 정치 세계에서 오랫동안 활동해 왔던 과거 대통령들과 달리 기업 생활에서 잔뼈가 굵은 이 대통령의 시간 개념은 우리 사회 전체를 속도감과 역동성 그리고 부지런함으로 단장할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향후 5년, 대통령에 대한 기대와 소망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우선은 침체되었던 사회 분위기를 새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 필자의 경험으로 보면 한국인들은 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순발력이 무척 뛰어나다. 따라서 사회 분위기를 일신할 수 있다면 예상할 수 없을 정도의 역동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런 분위기 메이커로서 으뜸은 대통령이다. '인간의 지성, 상상력 그리고 경외감에 한계가 없다면 우리의 성장에는 한계가 없다'고 역설하면서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침체된 분위기를 털고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자고 외쳤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오늘날까지 희망의 전도사로서 손꼽히는 데 손색없다. 나는 대통령은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하고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어쩌면 사회 구성원들이 더욱 높은 목표를 향해서 자기 에너지 전부를 불사를 수 있는 희망과 용기 그리고 낙관을 불어넣을 수 있는 적임자가 바로 대통령이다. 국가란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어떤 공동체라도 꿈을 갖고 있어야 하고 그 꿈을 구체화해서 도달하려는 목표나 목적지를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는 향후 5년 그리고 앞으로 10년 동안 어떤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하는가. 지난 10여 년 동안 아쉬웠던 점은 우리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라는 점이 모호했다는 점이다. 역사 바로 세우기, 동북아 중심국가 등 다양한 구호와 슬로건이 등장하기도 하였지만 구성원들에게 지향점을 제시하는 데 거의 실패하였다. 집권한 사람들의 말의 성찬에 머물고 말았다. 많은 과제 가운데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문제 해결책을 빠르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눈에 띄는 성과로 국민에게 변화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제대로 된 일자리를 만들고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장애물들, 특히 성역화된 장애물들을 제거함으로써 민간의 활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하지만 권력은 늘 사람을 취하게 만드는 강한 중독성을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대통령이 늘 강조하였듯이 '낮은 데로 임하소서'라는 말이 취임 초기부터 청와대를 떠나는 날까지 유지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대개의 실패는 사람의 장벽에 가리고 자신의 성취에 취한 나머지 보통 사람들의 소망과 바람으로 멀어지는 데서 비극이 탄생하곤 하였다. '처음처럼'을 꼭 명념할 수 있는 지도자를 소망한다. 끝으로 지도자는 원칙을 중시하고 인기를 적극적으로 구해선 안 된다고 본다. 1981년 8월에 일어났던 항공 관제사 불법 파업에 타협하라는 참모진 조언에 대해 레이건 대통령은 "지금 확실히 해 두지 않으면 다음에 무슨 말을 해도 국민에게 신용을 얻을 수 없다"는 간단한 답변으로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자기 뜻대로 국가를 이끌 수 있었다. [공병호 경영연구소 소장] [ⓒ 매일경제 & mk.co.kr] 2008. 2.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