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잡학사전

美 물리학자 "스테로이드, 홈런 효과 만점"

타구 속도 4% 빨라지면 홈런은 50% 증가

▲ 미국 물리학자 로저교수는 미국물리학저널에서 타구 속도가 단 4%만 증가해도 홈런은 최소 50% 이상 증가할 수 있다며 이는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라고 밝혔다.  ⓒ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배리 본즈가 '스테로이드 의혹' 속에 홈런 신기록 행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스테로이드가 실제로 홈런 수를 늘리는 데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 터프츠대학 물리학자 로저 토빈 교수는 '미국물리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cs)' 최신호에서 타구 속도가 단 4%만 증가해도 홈런은 최소 50% 이상 증가할 수 있다며 이는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충분히 얻을 수 있는 효과라고 밝혔다.

실제로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스테로이드 파문은 하루 이틀 된 얘기가 아니다.

홈런왕 베이브 루스의 한 시즌 60홈런 기록은 1961년 로저 마리스가 61홈런을 칠 때까지 34년간 깨지지 않았고 로저 마리스의 기록도 이후 35년간이나 깨지지 않았다.

그러나 1998~2006년에는 한 시즌에 60홈런 이상을 친 기록이 6번이나 나왔고 스테로이드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배리 본즈는 2001년 73홈런으로 로저 마리스의 기록을 20%나 뛰어넘었다.

토빈 교수에 따르면 메이저리그에서 홈런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스테로이드 시대'가 시작된 1990년대 중반이며 이런 증가세는 스테로이드 검사가 도입된 2003년 과거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졌다.

토빈 교수는 이 연구에서 스테로이드의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근육량과 근육이 발휘하는 힘, 그리고 그에 따른 방망이의 운동에너지가 각각 10% 정도씩 증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스테로이드의 이런 근력강화 효과는 배트 스윙속도를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5% 정도 빠르게 만들고 스윙속도가 5% 정도 빨라지면 타구 속도는 4% 정도 더 빨라진다.

토빈 교수는 타구의 궤도를 중력과 공기의 저항, 공의 회전에 의한 양력 등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 타구의 속도가 4%만 증가해도 홈런은 50%에서 최고 100%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스테로이드는 투수들에게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투수의 경우 근육량이 10% 늘어나면 공의 속도는 5% 정도 빨라지고 이 정도의 구속 증가는 게임당 평균 실점을 0.5점 정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이런 효과는 스테로이드가 홈런에 미치는 영향에 비하면 매우 미약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스테로이드가 홈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홈런을 치기 위해서는 그만큼 배트의 스윙속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윙속도에 따른 타구의 비거리 분포를 그래프로 그리면 종 모양의 정규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스윙속도가 약간만 빨라져도 홈런이 되는 타구 숫자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게 토빈 교수의 설명이다.

토빈 교수는 "물리학이 어떤 홈런이 스테로이드 덕분인지 아닌지 밝혀줄 수 없지만 이 연구결과는 최근 일부 선수들의 활약을 둘러싼 스테로이드 의혹이 근거가 있는 것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scitech@yna.co.kr


2007.09.27 ⓒScienc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