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大·正)'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배(嘉俳)'를 의미한다.
이때 가배란 '가부·가뷔'의 음역(音譯)으로서
'가운데'란 뜻인데, 지금도 신라의 고토(故土)인
영남 지방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 하며,
'가위'를 '가부',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한다.
또 8월 초하루에서 보름께까지 부는 바람을
8월 가부새 바람 분다라고 한다.
이로써 미루어 볼때 가뷔·가부는 뒷날 가위로
속전(俗轉)된 것으로 알 수 있으니,
'추워서'를 현재에도 '추버서'로 하는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 중에서도
정(正)가운데란 뜻이니, 정중심(正中心)을
우리가 '한가분데' 또는 '한가운데'라고 하듯이
'한'은 제일(第一), 큰(大)의 뜻 이외에도
한(正)의 뜻이 있음도 알 수 있다.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仲秋節·中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한 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것이다.
즉 한자가 전래되어 한자 사용이 성행했을때
중국 사람들이 '중추(中秋)'니 '추 중(秋中)'이니 하고,
'칠석(七夕)'이니 '월석(月夕)'이니 하는
말들을 본받아 이 말들을 따서 합하여
중추(中秋)의 추(秋)와 월석(月夕)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것으로 생각된다
'교육자료 >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물리학자 "스테로이드, 홈런 효과 만점" (0) | 2007.09.28 |
---|---|
와인 맛 속에 담긴 오묘한 반란 (0) | 2007.09.28 |
[강제징용 日 유바리]정책 실패로 ‘쪽박’…유령의 도시로 (0) | 2007.09.26 |
한국 4대 명절의 하나인 음력 8월 15일. (0) | 2007.09.25 |
[한국시론] 청와대 참모에게 보내는 고언 (0) | 2007.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