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교육정책

일본 교육계 단신(이충호영사 제공)

학교도 부모도 곤혹


- 수업 시간 증가, 학력에 연결됩니까?

 

 ◇ 「심성 문제」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인가


 「수업 시간을 늘리면, 학력이 올라간다고 단언할 수 없다」 「학력 up의 대처는 필요」.


 지난 1일, 정부의 교육 재생 회의가 정리한 제2차 보고가 있었다.

아베(安倍) 정권이 내거는 학력 향상을 위해 들어간 「토요일 수업」등에 학교 현장에서는 망설이는 목소리가 눈에 띄지만, 조건부로 찬성하는 의견도 있다.

한편, 부모들의 반응도 여러 가지로 찬부는 갈라졌다.

「德育(도덕)의 교과화」에 대해서는 교사들에게서 「규범의식은 아무리 지식으로 가르쳐도 정착하지 않는다」라고 의문을 던졌다.

                                                                                              【정리 ·다카야마(高山純二)】

 


 ■ 토요일 수업 부활


 학교 주 5일제는 학교뿐 만아니라 가정이나 지역과 함께 아이들의 「살아가는 힘」을 육성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02년도부터 완전 실시  되었다.

나고야시(名古屋市)의 중학교에 근무하는 남자교사(39)는 본래의 목적을 강조한 뒤에서 「학력이 낮아졌기 때문에 토요일에 보충한다고 하는 것은 안이한 생각」이라고 비판한다.

 

「학력저하의 최대의 원인은 『배우는 의욕』의 저하에 있다.

예정대로 토요일의 수업을 늘려도 학력향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고베시(神戶市)의 고교 교사=53세)라고 효과에 회의적인 목소리도 많다.


 그러나 학력 저하에 대한 위기감도 적지 않다.

오사카시(大阪市)의 중학교장(59)은 「학력 저하에 대한 실감이 되고 있다.

수업 시간을 늘려서 깊은 내용을 배우도록 하는 것은 찬성이지만, 인건비에 대한 수당이 필요하다」라고 조건부로 찬성한다.


 토요일 수업에는 과제나 문제점도 산적하고, 교원의 부담 증가나 보호자의 협력을 걱정하는 의견의 이외, 「교육위원회도 같은 근무 체제로는 되지 않는다고 난처해 했다.

토요일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보고는 주초라고 할 수가 없다」(도치기현 닛코시(日光市)의 초등학교장=59세)고 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 德育 교과화


 德育(도덕)을 교과화 하는 것은 「평가」가 최대의 관심사다.

삿포로시(札幌市)의 초등학교 교사(51)는 「심성 문제는 깊이 파고들어서는 안 되는 영역이다.

교과로 했을 경우,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라고 곤혹했다.

제2차 보고는 「수치평가」를 부정하고 있지만 「다른 평가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인 심의는 중앙교육 심의회에 맡긴다」 (재생 회의 사무국)고 평가에 암시를 갖게 한다.

 

도쿄도 내의 초등학교 교사(52)는 「지금은 점수화하지 않는다고 해도, 가까운 시일 내에 정착도를 알아보는 수치평가가 있을 것이다」라고 이야기한다.


 고교에서는 2000년 12월에 정리된 교육개혁국민회의의 제안과 같은 「봉사 활동의 필수화」도 제언되었다.

후쿠오카시(福岡市)의 고교의 교장(60)은 「德育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교과 이외의 시간에 (교원들의) 접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봉사 활동도 처음부터 『자원봉사』라는 말의 의미로 모순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 「가정의 리듬 붕괴 된다」


 부모의 관심은 주로 수업 증가의 문제로 집중했다.

 「토요일의 수업은 꼭 해주었으면 좋겠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프리 저널리스트로 4명의 아이를 기르는 이노쿠마(猪熊弘子) 씨 (42)=도쿄도(東京都 大田區).

 「토·일에 집에서 공부하게 만드는 것은 무리이다.

결국, 학원이나 배우는 곳에 찾아 다니고, 돈이 있는 자와 없는 자의 격차가 난다.

지금의 여유 있는 교육은 지방자치단체가 아이들에게 돈을 들이지 않고, 가정에 요구하고 있는 것뿐 이다」라고 한다.


 한편, 초등 6학년의 남자 아이가 있는 사이타마현(埼玉縣新座市)의 NPO 「니자(新座) 육아 네트워크」대표, 사카모토(坂本純子)씨 (45)는 「장기휴가의 단축은 그런대로, 토요일도 수업이라고 하는 것은 아이에 있어서 부담」이라고 한다.

 

「2일 쉬는 것이 가정의 리듬으로 되고 있어, 부모도 아이도 혼란할 것 같다.

토요일 휴일로 아이와 마주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지역 교류의 장소도 부활했는데도….

조령모개의 감이 강하다」라고 분개한다.


 또, 초등학생 두 아이의 아버지로, 부친을 지원하는 NPO 「fathering japan」 (도쿄의 안도(安藤哲也) 대표 이사(44)는 「수업 증가에 대한 시비 전에 PTA나 학교 등 현장의 목소리와 관계없이 톱다운(top down)에서 결정된 것에 대해 저항이 느껴진다」라고 그 수법을 비판했다.

「여유 있는 교육의 전환이라고 하지만, 그 총괄은 어떻게 한 것인가?

어른이 흔들리기 때문에 아이도 흔들린다. 아이보다 어른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가?」


 德育에 대해서도 의견은 여러 가지 이다. 아이 두 명이 있는 자영업 남자(50)는 「애국심은 원래부터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이용해서『잘못된 애국심』으로 인도하는 것 같은 우려를 갖게 된다」고 비판했다.

초2 장남이 있는 도쿄도 내의 공무원인 남자(44)는 「도덕의 충실은 찬성이다.

제언은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선은 부모가 견고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주문을 붙였다.

 

 


 ◇ 강제는 반발을 초래 한다


 -변호사로 재단법인 「사와야가나(산뜻한) 복지재단」의 호리타(堀田力) 이사장의 이야기


 도덕은 아이들이 여러 행동이나 체험 가운데서 수득해 가는 것이며, 강제적이거나 획일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강제적으로 집어넣으면 아이들이 반발하는 것 밖에 없다.

교육 재생 회의는 「위에서 관리해 철저히 가르친다」 는 자세로 시종일관하고 있다.

이러한 발상은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좋다.

교육은 학교현장에 맡겨야 한다.
                                                                                 마이니찌신문 2007년6월2일 도쿄 조간

 


                                                                                       <사설(요미우리6.2)>


교육 재생 회의 제2차 보고의 논점을 깊게 하자

 


  아베(安倍) 수상 직속의 교육 재생 회의가 제2차 보고를 매듭지었다.

 금년 1월의 제1차 보고에 담은 「여유 있는 교육의 재검토」에 대해서, 이번 몇 가지 구체적인 안을 제시했다.


 두드러진 것은 수업 시수를 10% 증가하는 방안으로 「토요일 수업」을 든 것이다.

여름방학의 단축, 아침 15분 수업 등과 함께 선택사항의 하나로 되었다.

 단, 현행의 「학교 주 5일제」라고 하는 기본은 무너지지 않는다.

교육위원회나 학교의 재량으로 필요에 따라서 토요일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제언이다.


 6일제로부터 5일제로 이행하는 경위, 사립학교의 반수가 여전히 6일제를 채용하고 있는 현상, 보호자나 교원들의 의식 동향 등, 파고든 논의를 추진해 주었으면 좋겠다.

 토요일 수업의 부활에 대해서 재생 회의로서의 검증, 평가를 제시, 현장이 책임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德育」은 당초부터 국어, 산수 등과 동등한 교과로 하는 방향이었다.

그러나 중앙교육 심의회의 야마자키(山崎正和) 회장이 「교과로 가르쳐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발언하는 등 이론(異論)도 나오기 시작하고, 보고서에서는 「종래의 교과와는 다른 새로운 교과」로 이르게 되었다.

 수치로 성적 평가는 실시하지 않는다. 교과서는 만들지만, 부독본 등과 병용하고, 담임교사가 가르친다. 교원에 의한 운용의 방법이 향후, 묻게될 것이다.


 1차 보고에는 없었던 테마가 대학·대학원 개혁이다.

졸업 자격의 엄격화나 우수한 해외의 학생을 모집하기 위해서 9월 입학 TO를 늘리고, 영어수업을 확충하는 것 등 다양한 제언을 하고 있다. 국립대학이 대담한 재편 통합도 제시했다.


 주목받는 것은 이들 대학 개혁을 위해 효율화, 성과주의, 실효성 있는 분야에의 「선택과 집중」이라고 한 경쟁 원리에 근거하는 교육재정 개혁안을 나타낸 점이다.

 재무, 문부과학 兩省의 사이에 논쟁이 되고 있었던 국립대학의 운영비 교부금의 배분법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노력과 성과를 근거로 한 새로운 배분의 구체적 검토」를 제창하고 있다.


 단순히 예산의 효율화의 관점에서 경쟁 원리 도입을 압박해 오는 움직임에 재생 회의가 동조하는 것은 있어서는 안 된다.

 공립초중고교의 교원 급여도, 교원평가에 의한 구별되는 지급으로 변경하도록 제언하고 있다. 단지, 그 평가를 누가 어디에서 어떤 기준으로 행하는 것일지는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


 과도 한 경쟁 원리도입은 교육 현장에 혼란을 초래한다. 재생 회의의 향후의 검토 과제로는 「교육 바우처(voucher)」제나 공립학교에의 효율적 예산배분 등도 거론되고 있지만, 신중한 논의를 기대하고 싶다.


                                                                                       (2007년6월2일2시23분 요미우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