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영재교육 입시 방편 전락

                                    [YTN 뉴스] 2007. 2. 12

영재교육 입시 방편 전락…당국 방치

http://www.ytn.co.kr/_ln/0103_200702110506270132 

교육청이나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이 과학고를 가는 지름길로 알려지면서 사설 영재학원들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교육당국은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구수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의 사설 영재학원.


초등학교 2학년생들이 열심히 과학수업을 받고 있습니다.


대부분 교육청이나 대학들이 운영하는 영재교육원에 들어가려는 학생들입니다.


[인터뷰:초등학생 학부모]

"과학고를 가기 위해서 요구되는 여러가지 전형방식을 보면 영재원에서 교육받은 경험이라던가 이런 것들을 요구하니까."


실제로 상당수의 과학고들이 영재교육원 이수학생에게 가산점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이름있는 영재교육원의 경쟁률은 보통 10대 1정도.


[인터뷰:유흥우, 사설 영재학원장]

"국가 영재체계가 저희하고 합일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고 있는 부분이고요. 그런 부분에 있어서 니즈도 충분히 존재하고요."


영재학원들은 영재교육원과 특목고에 합격한 수강생 명단을 실적으로 자랑하고 있습니다.


법적으로 사설 학원은 붙일 수 없는 '영재교육원'이나 '영재교육센터'라는 이름까지 내걸고 있지만 교육당국은 실태 파악도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홍덕표, 서울시교육청 영재교육팀장]

"사교육기관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고 있지만, 최근 들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상당히 많이 불어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교육부도 부랴부랴 조치에 나섰습니다.


[인터뷰:이화성, 교육부 과학실업교육정책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을 해서 과학고 선발제도를 개선하도록 저희가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영재교육이 시작된 지 이제 겨우 5년.


[기자]

교육당국이 이렇게 학원시장 단속에 무심한 사이, 영재교육은 채 정착되기도 전에 또 하나의 입시방편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YTN 구수본[soobon@ytn.co.k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