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과학고 전형서 영재교육원 가산점 없앨듯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79098
서울지역 과학고 일반전형에서 영재교육원 출신자에게 주어지는 가산점 제도가 유예기간을 거쳐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서울시교육청은 "그 동안 영재교육원에 들어가면 과학고 입학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져 어릴 때부터 학원을 다녀 영재교육원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며 "사교육 조장을 예방하기 위해 영재교육원 수료자에게 부여하는 가산점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서울과학고와 한성과학고는 모집인원의 10% 내에서 영재교육원 수료자를 정원외로 선발해 왔고, 일반전형에서도 영재교육원 수료자에게 최대 0.5점의 가산점을 줘 왔다.
이에 따라 영재학원들은 프로그램을 영재교육원 입학에 맞추고 학부모들이 영재교육원 입학률이 높은 학원에 등록하기 위해 줄을 서는 등 '변질된 영재교육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그러나 정원외로 선발하는 '영재교육원 수료자'전형은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한국일보]
과학고 '영재교육원 가산점' 폐지
사교육 조장 논란에… 수료자 정원외 전형은 유지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702/h2007021318305622020.htm
서울지역 과학고 일반전형에서 영재교육원 출신자에게 주어지는 가산점 제도가 폐지될 전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13일 “그동안 영재교육원이 과학고 입학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사교육 조장 논란이 제기돼 왔다”며 “과학고 입학 때 영재교육원 수료자에게 부여하는 가산점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서울과학고 한성과학고 등 서울지역 2개 과학고는 신입생 일반전형에서 직영 영재교육원이나 11개 지역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 수료자에게 최고 0.5점의 가산점(총점 200점)을 부여해왔다. 민족사관고 등 일부 자립형 사립고도 영재교육원 출신을 우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학원들이 영재교육원 입학 설명회를 경쟁적으로 여는 등 또 다른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비판이 무성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영재교육원 설립 취지가 훼손되고 있는데다 가산점이 실제 과학고 입학에 큰 영향을 줄 정도가 아니라는 판단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원 외로 뽑는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은 계속 실시될 전망이어서 영재교육원 열풍은 쉽게 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가산점 폐지가 확정되더라도 최소 3년 이상 유예기간을 거칠 예정이어서 당장 올해 수험생들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11개 지역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은 올해 수학ㆍ과학 분야 영재교육 대상자로 2,880명(초등4~중3)을 선발했다.
박원기 기자 one@hk.co.kr
[연합뉴스]
"부산 과학영재교 학생 절반이상 서울.경기 출신"
김영선 의원 "과학영재교 추가 지정해야"
과기부 "내년중 1-2곳 추가 지정 긍정 검토"
(서울=연합뉴스) 이정내 기자 = 국내 유일의 과학영재 고교인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의 학생 절반이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 출신으로 나타나 과학영재교를 추가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 김영선 의원(한나라당)은 13일 국회 상임위에서 "부산 과학영재학교 학생의 53.4%가 서울.경기지역 학생"이라면서 "서울.경기 지역에 과학영재고를 설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재학생들의 2007년도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지역 학생이 전체 144명 중 48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지역 학생이 29명으로 뒤를 이었다"면서 "과기부가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높은 두 지역에 영재학교가 없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영재라고는 하지만 이제 15살을 갓 넘은 아이들이 부모 품을 떠나 타지에서 교육을 받는것은 정서상에도 좋지 않고, 전체 학생의 1∼5%를 영재로 지정하고 교육하는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경우 0.3%만이 영재교육의 혜택을 받는 상황에서 영재학교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2월 27일 교육부 주관하는 중앙영재진흥위원회에서 추가지정 여부를 논의한 결과, 그 필요성에 공감했다"면서 "올해는 어렵지만 내년에는 과학영재학교 1-2곳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영재학교 졸업생을 포스텍(포항공대)이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하는 등 졸업생에 대한 수요, 다수의 영재학교를 운영하는 데 따른 차별성, 기존 과학고들이 모두 영재학교로 전환을 요구하는 데 따른 대응방안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서울.경기.대전 지역에서 과학영재교 지정을 요청하고 있다"면서 "추가로 지정하더라도 전국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jnlee@yna.co.kr
[조선일보]
서울 과학영재교 2009년 개교할듯
과기부 “내년 2곳 지정”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2/14/2007021400013.html
과학기술부는 내년에 최대 2곳의 과학영재학교를 추가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교육청이 2008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 중인 서울과학고의 과학영재학교 전환은 2009년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경기도는 2009년에 경기과학영재학교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 김영선 의원(한나라당)은 13일 국회 상임위에서 “부산 과학영재학교 학생의 53.4%가 서울·경기지역 학생”이라면서 “서울·경기 지역에 과학영재교를 설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전체 학생의 1~5%를 영재로 지정하고 교육하는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0.3%만이 영재교육의 혜택을 받고 있어 영재학교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과기부는 이에 대해 “올해는 어렵겠지만 내년에는 1~2곳을 과학영재교로 추가 지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이공계 키우기 ‘영재교육’ 육성 의문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2131129131&code=940401
부산영재고등학교 학생의 53.4%가 서울·경기지역 학생이라는 점에서 서울·경기 지역의 영재고등학교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지난 20년간 고교생의 수학·과학등 이과(理科) 이수과목은 1/5로, 학생 비율은 절반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김영선 의원(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은 13일 “부산에 위치한 한국과학영재학교 재학생들의 올해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지역 학생의 비율이 전체 144명 중 48명으로 가장 높고, 서울지역 학생이 29명으로 뒤를 이었다”며 “과기부가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높은 두 지역에 영재학교가 없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영재라고는 하지만 이제 15살을 갓 넘은 아이들이 부모 품을 떠나 타지에서 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정서상에도 좋지 않고, 전체 학생의 1~5%를 영재로 지정하고 교육하는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겨우 0.3%만이 영재교육의 혜택을 받는 상황에서 영재학교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특히 과기부가 교육부와 회의, 워크샵, 세미나 등의 논의를 단 한차례도 진행하지 않은 것을 들어 “과기부의 영재학교 육성 의지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과학영재학교가 설립·지정되기 위해선 해당 기관이 관련자료를 교육인적자원부에 제출한 후 관계부처인 과기부 의견을 수렴, 심의 한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김 의원은 “1986년 고등학교에서 이수해야 할 과학교과는 이과생이 32단위, 문과생은 16단위였으며, 이과와 문과 학생의 비율은 70%와 30%였으나 현재는 고등학교 이수 과학 교과의 경우 이과와 문과 모두 6단위씩이며, 학생 수는 35%와 65%로 역전됐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우리가 세계 10위권 안팎의 경제력을 자랑할 수 있는 이유는 수학·과학 교육으로 키운 인재들이 성장의 주역이 됐기 때문인데,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둡다”며 이과 교육의 강화를 주장했다.
〈미디어칸 손봉석기자/paulsohn@khan.co.kr〉
'정책 > 영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의 과학교육] <중> 뒤쳐지는 기초학력 (0) | 2007.02.16 |
---|---|
[스크랩] 과학 영재 학교, 정말 필요한가? - 새로운 사교육 열풍만 불러 일으킨다 (0) | 2007.02.16 |
수월성 교육 (0) | 2007.02.13 |
영재교육 입시 방편 전락 (0) | 2007.02.12 |
2년차 영재 과정 바늘구멍 (0) | 2007.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