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교회장로

[스크랩] ‘성경’이 신앙의 ‘표준’이라는 생각에 있어서의 ‘오류’

성경이 신앙의 표준이라는 생각에 있어서의 오류


 

로마 가톨릭이 성경의 권위를 로마 가톨릭 교회 혹은 회의에 의해 승인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달리, 그러한 생각을 개혁한 개신교 신앙에 있어 성경의 권위는 성경 자체에 내적으로 성령께서 부여하신다고 본다. 이를 성경의 자증(가신)”(Autopistia)이라고 한다.

 

그런데 성경의 자증성에 있어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성경의 자증성이 문자적인 것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성경은 사고함이 없이 그저 문자적으로 진리를 명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와 해석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이기에, 그에 따라 진리가 산출되는데 이를 가리켜서 신학”(theology) 혹은 교의”(Doctrine)라고 한다. 

결국 성경은 축자적으로 영감(inspiration)되어 기록된 것일지라도, 진리를 단순히 명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내포하는 성격인 경우가 산재하는 것이다.

 

대략적으로 구약시대에는 율법(성경)보다는 성전(tabernacle or temple)과 제의(제사)를 중심으로 하는 신앙체계 가운데 있었는데, 바벨론 유수(Babylonian Exile)로 성전에 접근할 수 없게 되면서 결국 경전을 중심으로 하는 회당(synagogue)에서의 예배가 신앙의 형태로 자리하게 됐다. 그러므로 바벨론 유수 이후로 이스라엘의 종교에 있어서 정경(Canon)의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었는데, A·D 90년경 얌니아 회의(Council of Jamnia)를 통해 구약 정경이 확정되기에 이르렀다. 물론 얌니아 회의에서 구약 정경을 확정했다고 해서 회의 자체의 권위에 의해 구약 정경을 확정한 것이 아니라, 이미 구약의 역사를 통해 전승되어 온 구약 묶음들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것 뿐 이었다. 

더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 가운데 오셨을 당시에 구약은 이미 정경으로 확정된 채로 묶여져(scroll) 회당에서 읽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약정경 자체에는 큰 이견이 없었다. 반면에 신약 정경의 경우에는 1세기 기독교가 태동했을 때부터 확정되었던 것이 아니며, 오히려 여러 이단설과 외경(Apocrypha) 혹은 위경(Pseudepigrapha)들이 등장했었는데, 그 때에는 여러 사본들과 문서들을 종합하고 정리하여서 일관되게 추려진 진리(흔히 복음이라 불리는)를 토대로 정경이 확정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구약 정경과 달리 신약 정경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어떤 객관적인 출처나 근거보다는 그 내용에 있어서의 일관성과 맥락 즉, ‘신학적 기준(표준)’에 의해 비로소 판별될 수가 있었다.

 

이처럼 구약 시대에서부터 신약 시대, 그리고 이후의 역사에 있어서 기독교 신앙의 중심점은 성전(제사)  경전(성경) ▷ 신학(진리)의 큰 틀로 변화를 겪었으며, 그 중심에 있는 일관된 흐름이 다름 아닌 신학이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은 이미 신약 시대 때부터 시련과 도전에 직면했었으니, 성경은 문자주의적인 율법주의의 도전 뿐 아니라 성전(혹은 제사) 중심으로 회귀하려고 하는 유대주의의 도전 가운데 직면해 있었으며, 바로 그러한 상황에서 유대교로 회귀하는 유대인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을 권면하는 단적인 서신이 바로 히브리서.

 

그런데 그러한 시련과 도전은 박해 가운데 있었던 1세기 기독교가 공인된 이후, 3세기경에도 곧장 재현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형식주의와 공로주의의 우상종교인 로마 가톨릭이었다. 하지만 16세기 무렵, 참된 기독교는 다시 로마 가톨릭의 우상종교를 타파하고 원래의 순전한 기독교의 모습을 회복하고자 했으니, 그 때의 종교개혁에 있어서 중요한 방편은 로마 가톨릭으로 왜곡되기 전의 순전한 기독교 신학을 확립한 교부들과 신조들을 통해 1세기와 신약 시대의 성경적인 신앙으로 되돌아가는 것이었다. 

특히 로마 가톨릭으로 타락하기 전까지의 순전한 신조들은 이단들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성경에 근거하는 바르고 참된 신앙의 진리가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규정하고 확정한 형태였기에, 로마 가톨릭의 이단적인 사상들을 개혁하는 종교개혁자들은 자신들의 신학의 근거를 항상 그처럼 온전한 신조를 다시 확립하는 것으로 삼고자 했다. 

때문에 프랑스 신앙고백(1559)이나 벨기에 신앙고백(1561) 등의 개혁파 신앙고백서들은 그 서두에서 고대 정통교리와 신학자들의 입장을 재천명하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프랑스 신앙고백은 제5조에서 ……우리가 세 가지 신조, 즉 사도 신조, 니케아 신조, 아타나시우스 신조를 고백하는 것은 이 신조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매우 일치하기 때문이다.라고 했고, 벨기에 신앙고백 또한 우리는 세 신조, 즉 사도 신조, 니케아 신조, 아타나시우스 신조를 기꺼이 받아들이며, 또한 고대의 교부들이 합의한 것 중에 이 세 신조에 일치하는 신조들을 받아들인다.”고 했다.

 

그런데 사도 신조와 니케아, 그리고 아타나시우스 신조는 동일한 신앙의 골격을 더욱 구체적으로 확장하여 고백하는 형태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사도 신조에 담긴 신앙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를 조금씩 자세히 다루고 있는 성격이다. 또한 벨기에 신앙고백이 귀도 드 브레(Guy de Bray, 1522-1567) 한 사람에 의해서 작성되었으나 안트베르펜 교회에서 최초로 승인되고, 여러 교회들에서도 받아들여졌는데, 나중에 이를 수정하여 도르트 총회(Synod of Dortrecht, 1618)때에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의 공식 신조로 받아들이게 된 것인데 반해, 프랑스 신앙고백은 칼뱅이 초안했을지라도 베자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과 프랑스 장로교회 총회의 공식적인 승인으로 채택된 신앙고백이라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즉 벨기에 신앙고백이 개인적으로 작성한 것이고, 프랑스 신앙고백은 칼뱅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과 교회회의를 거쳐 채택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개신교 진영에서 도출한 여러 신앙고백들 가운데 도르트 신조(1619)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은 각각 도르트 노회와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에서 신학자들과 관리들이 함께 모여 도출시킨 범세계적 신앙고백들이라는 점에서 그 탁월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특히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도르트 신조와 같이 제한적인 성격에서가 아니라 개혁신학의 전 영역들을 망라하여 작성한 신앙고백이라는 점에서 그 탁월함의 정점에 있는(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있어서 1647년판을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그 이후의 여러 차례의 수정과 증보가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같은 객관성과 범교회적 대표성을 전혀 확보하지 못한, 그야말로 시대·지역적 특수성 가운데서 제한적으로 이뤄진 것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총대들의 탁월함에 있어서도 그 이후의 수정과 증보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것들이다) 신앙고백서다.

 

이처럼 신조들은 저마다 독특한 특성들 가운데서 성경을 문자적으로가 아니라 그 의미들을 정리하여 요약한 것이라는 공통적 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그런 신조(신앙고백)들은 성경과 분리하여 다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종속적으로 다뤄야 하는 성격을 지닌다. 아울러 그러한 신조들의 종속성은 성경에 비해 하등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철저히 유기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경과 신조들을 분리하려고 하는 발상(성경에 우선을 두고 신조들을 그보다 하등하게 다루려는 발상)은 신조가 갖는 유기적 종속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생각이다. 

 

무엇보다 신조는 시대나 지역의 산물이 아니라 성경의 필연적인 산물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흔히 각각의 신조들과 신앙고백을 그 시대나 지역적 특성에 한정하여 이해하려고 하는 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오히려 거의 모든 신조들과 신앙고백들이 그처럼 고백하는 근거가 성경에 있음을 초두에 고백하고 있기에, 그처럼 신조나 신앙고백을 시대 혹은 지역에 한정하려고 하는 것은 그 신조나 신앙고백의 취지를 근본적으로 이탈하는 연구방식이라 하겠다.

 

현대의 신학에서는 성경을 근거로 각자의 시각에 따라 신학적 프레임을 제시하곤 한다. 그러므로 신조 혹은 신앙고백은 신학의 부산물이지, 결코 신학의 주체가 되지 못한다. 하지만 구약과 신약, 그리고 이후의 역사들을 통해 성전(제사) ▷ 경전(성경) ▷ 신학(진리)의 큰 틀을 확인한 바와 같이, 종교개혁을 통해 회복하려고 한 순수한 신앙은 성경 ▷ 신조의 맥락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신조를 배제하고 직접 성경에 들어가는 방식은 오히려 로마 가톨릭의 반동종교개혁의 맥락일 수는 있어도, 16세기 이후 개혁된 신학이 사용한 맥락이 결코 아니다. 그러므로 성경이 신학과 신앙의 표준일 수는 있어도, 신조(신앙고백)가 표준일 수는 없다.’는 생각은, 구약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공된 계시의 큰 경륜을 간과하는 오류일 수 있음을 기억하며, 오히려 성경과 신조는 분리할 수 없을 만큼 유기적인 것’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함이 마땅히 요구되는 것이다.

 

결국, 참된 신학의 근거인 참된 신조(신앙고백)가 없이 참된 성경의 이해와 그로 말미암는 신앙은 불가능한 것이다.


장대선 목사

출처 : 예수 코리아
글쓴이 : 임마,누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