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기타/책 읽기

평생 가지고 있어야 할 비즈니스 스킬

[안계환의 독서경영] 평생 가지고 있어야 할 비즈니스 스킬                                                                       출처 휴넷 2010. 12. 15

우리나라에 사업자 등록된 기준으로 보면 실제 사업이 영위되는 숫자는 개인과 법인을 포함하여 100만 명이 넘습니다. 그 중에서 대부분은 장사꾼이라고 볼 수 있지요장사꾼과 사업가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예를 들어서 작은 가게를 열었는데 이를 팔아서 자기 한 몸 먹고 사는 수준으로 생각한다면 장사꾼입니다. 반면에 이를 확대하여 여러 물품을 취급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성장을 지향한다면 사업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업가는 가게에 들어오는 물품의 원가를 분석하고, 고객들의 취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지를 연구합니다장사꾼에게 가게는 나의 가정을 지키는 돈이 나오는 곳이지만 사업가에게는 돈만이 아닌 나의 꿈을 이루어줄 소중한 장소이지요

 

우리나라 경제의 99%는 중소기업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은 혼자 사업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에서부터 재벌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중 규모 기업까지 광범위합니다하지만 이들 중 중소기업의 틀에서 벗어나 진정한 비즈니스 리더로 거듭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진정한 비즈니스 리더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개인의 부 축적이라는 목표 이외에 어떤 것이 필요할까요?  베인 앤드 컴퍼니에서 이사회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성용대표의 정의에 의하면 부를 이루는 목표에 야심과 열정이 덧붙여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빌게이츠와 스티브 잡스가 가지고 있는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지요.

  이성용 지음

이러한 목표와 열정 그리고 야심이 포함된 기업가정신 혹은 비즈니스 마인드를 평가하는 지수를 BAQ(Business Attitude Quotient)라고 설명합니다나는 어떨지 아니면 내가 속한 기업의 리더는 어떤 수준의 리더인지 판단해 보시지요.

 

BAQ 발전의 5단계 

1 단계 장사끼-돈 냄새 맡는 귀재 '기회주의적 추종자'

사업을 키우기 위해 땀 흘려 일하고 노력하기보다는 성공을 거둔 사업을 모방하는 미투(Me too)전략을 구사함. 일례로 '짝퉁' 시장에서 막 나온 따끈따끈한 '신상'을 파악해 똑같이 만들어내는 감각이 중요함. 일본을 추종하여 성공한 한국의 전자기업들이 주로 썼던 성공전략이다.

 

2 단계 장사꾼-마이다스의 손 '기회주의적 발굴자'

시장을 찾아 다니며 사업이 될 만한 기회를 잘 찾아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부동산 시장에서 돈이 될만한 물건을 잘 찾아내는 능력을 소유하는 경우와 연예인 지망생 중에서 가능성 있는 인물을 잘 찾아내고 키워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3 단계 장사통-창의적 개발 꾼 '기회주의적 창조자'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무언가를 개척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업가정신을 갖춘 사람. 이들은 마이스페이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를 위시한 굉장히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자신이 세운 기업을 성공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함. 광적인 기질이 있다고 할 정도로 목표에 집착하는 성향이 있다.

 

4단계 경영감- 감 경영의 대가 '사업 경영자'

'사업 경영자'는 전략적 사고, 치밀한 분석력, 냉철한 판단력 등을 갖추고 균형감각과 사업에 대한 ""을 갖추고 있다. 기업경영에 관한 수많은 요소에 대해 끊임없이 정의를 내릴 수 있는 '경영감()'을 있어야 한다.

 

5단계 책임경영- 존경 받는 비즈니스 리더 '사업 구축가'

사업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위대한 비전과 의지가 있는 비즈니스 리더이다. 단순히 기업을 키워 돈을 버는 능력에 그치지 않고 훨씬 고차원적인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워렌버핏과 빌게이츠는 자선 활동을 통해 이를 실천해 나가고 있는 전형적 사례이다.

 

대부분의 한국기업은 2내지 3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저자는 말하며 장사꾼에서 진정한 사업가로 변화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BAQ지수의 단계를 높여가려면 어떤 요소가 필요할까요?

 

첫 번째는 열정이다

두 번째는 긍정의 사고이다.

세 번째는 적응력이다.

네 번째는 리더십이다.

다 섯번째는 야망이다. 

 

미래의 비즈니스 리더이든지 아니면 이미 비즈니스 현장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리더이든지 상관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사업가로서 열정과 목표의식 그리고 비즈니스 마인드를 가질 것인지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글로벌 비즈니스 현장에서 리더들과 나눈 대화를 통해서 엮어낸 이성용 대표의 노하우를 책과 함께하는 시간을 통해 얻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드리며

안계환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