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컨트롤 (mind-control)이란 심리학적인 용어로 정신통제, 최면, 자기 암시 등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였다. 여기서 말하는 '마인드컨트롤'이란 감정통제(Emotion-Control)에 가깝다.
스포츠선수들이 마인드컨트롤 훈련으로 긴장과 이완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침착하고 편한 상태에서 시합을 치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마인드컨트롤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분노를 다스리는 능력이다. 인간의 감정을 동의보감에서는 기쁨, 분노, 슬픔, 생각, 걱정, 놀람, 공포 등의 7가지로 분류하는데, 그 중에서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분노이다. 분노가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분노를 다스리는 마인드컨트롤이 꼭 필요한 것이다.
자신의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평정심이 중요하다. 어려운 처지일수록 자신의 환경을 객관화해 바라보는 감정통제가 필요하다. 이런 힘든 상황의 원인을 '남의 탓'으로 돌리고 주변에 화풀이하는 행동은 문제를 더욱더 악화하는 지름길이다.
골프에서 타이거 우즈와 아니카 소렌스탐은 PGA와 LPGA투어의 선수로서 최상의 기록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골프가 ‘마인드 게임’이라 그들에게 분명 뭔가 다른 마음 다스리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우즈는 어머니인 쿨티다 덕분에 불교의 영향을 받아 명상하는 법을 일찌감치 배우고 틈틈이 이를 활용해 자신을 다스린다고 한다. 소렌스탐은 요가에 심취해 마음 다독이는 법을 익혔다고도 한다. 둘은 모두 중요한 샷을 하기 전에는 길고 깊은 호흡으로 긴장을 푸는 것이 좋다고 했다. 이 두 사람이 각자 자신의 책을 통해 밝힌 마인드 컨트롤 방법을 살펴본다.
■타이거 우즈 ‘나는 어떻게 골프를 치는가’= 이 책에서 골프를 ‘기회를 이용하고 실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가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으로 먼저 꼽은 것은 ‘빨리 잊기’다. 언제든지 미스 샷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알지만 그렇다고 샷을 다시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빨리 잊는 것이 상책이라고 했다. 때로는 자신에 대한 노여움을 폭발시켜도 좋지만 남 보기에 흉하지 않을 방법을 찾으라는 것이 우즈의 충고다.
또 다른 방법은 늘 ‘긍정적으로 사고하기’다. 우즈는 낙천주의자인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좋은 쪽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들였노라고 했다. 그는 스스로를 믿고 절대 부정적인 생각이 들지 않도록 했으며 포기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은 ‘부정’의 의미가 깃든 단어를 아예 떠올리지 않는 것이다. 연못을 앞에 두고 ‘빠뜨리지 말아야지’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저 너머로 볼을 보내야지’라고 생각하는 식이다. ‘말아야지’라는 말을 떠올리는 순간 반드시 그렇게 되는 법이다.
우즈의 마인트 컨트롤비결 또 하나는 승부욕이다. 마지막 퍼팅한 볼이 땡그랑 소리를 낼 때까지 골프는 끝난 것이 아니다. 결코 중간에 포기하면 안 된다.
■소렌스탐 ‘파워골프’= 소렌스탐은 다음 일을 미리 당겨 걱정하지 않고 주어진 샷에만 집중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 부분에서 그녀는 우즈와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생각이 머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라고 했다. 백스윙을 하기 전 마지막에 ‘물에 빠뜨리지 말자’ 라고 생각하면 머리는 물에 초점을 맞추게 돼 결국 우려했던 결과를 낳는 다는 것이다.
그녀는 이럴 때는 ‘폴로스루를 완벽하게 해내자’는 식으로 완전히 다른 긍정적인 생각에 집중하라고 조언한다. 소렌스탐이 충고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18홀 내내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는 없으므로 샷과 샷 사이에 잠깐씩 쉬어 주라는 것이다. 볼을 향해 걸어갈 때, 동반자와 함께 영화나 운동 이야기를 하거나 혼자 콧노래를 불러도 좋다고 했다.
중요한 것은 골프로부터 잠시 벗어나 정신적으로 스스로 지치지 않게 하라는 것이다. 볼에 다 다다랐을 때는 30~40초 동안 다시 ‘집중 모드’로 돌아와야 한다.
효과적인 마인드컨트롤 7가지 방법
1. 우선 자신의 마음 상태를 파악하라. 자신이 긴장을 많이 하는 성격이라면 자신의 마음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지나치게 집착해 냉정함을 잃지 마라. 실수를 했다면 화가 날 것이다. 실수는 빨리 잊고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실수를 만회하려다가 아예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3. 무조건 휴식을 취하라. 최악의 사태에서는 벗어나려는 노력조차 하지 말고 그냥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마음의 동요를 하지 말고 그냥 휴식을 취한다.
4. 실수를 철저히 분석해서 실패를 하지 마라. 인생은 경험의 연속이다. 경험을 통해서 배우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실수를 재빨리 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실수했을 때 그 실수를 철저히 분석해서 똑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된다.
5. 상대방과 비교하여 상대방 페이스에 휘말리지 마라. 남을 쫓아다니면 마음만 바쁘게 된다. 남들과 비교하거나 남의 페이스에 말려들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상대방도 객관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6.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것은 고통이다. 자신이 과거에 경험했던 장점과 단점을 적어보시고 그것을 분석해보면 자신을 객관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7. 전적으로 자신을 믿어라. 무슨 일을 하든 자신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다. 자포자기 보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차근차근 시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끝까지 자신을 믿는 사람만이 실패를 보지 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