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과학교육기술부 조직

교육과학기술부, 2차관 4실 71과로 재탄생

 

R&D특구기획단, 13개 출연연은 지식경제부로...

 

                                                                                 Science Times  2008년 03월 03일(월)

그동안 과학기술 행정을 전담해온 과학기술부 업무가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지식경제부, 기획재정부, 환경부 등으로 분산 이관된다.

▲ 교육과학기술부 조직도(안)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각 부처별 세부 직제개편 작업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최근 실무자 간의 합의를 마친 교육과학기술부 조직도(안)에 따르면 ‘1본부 1실 1조정관 6국 1단 9관 36과 6팀’의 과학기술부 조직은 ‘1차관 3실 1차관보 3국 9관 2단 56과’의 교육인적자원부 조직과 결합, ‘2차관 4실 5국 11관 71과’의 거대 조직으로 재탄생한다.



과학기술 행정을 담당할 제 2차관 산하에는 과학기술정책실, 학술연구정책실 등 2개실과 국제협력국, 원자력국이 설치돼 그동안 과학기술부에서 수행해오던 업무와 함께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수행해오던 학술연구 업무를 흡수, 함께 수행하게 된다.

과학기술정책실에서는 과학기술정책기획관, 정책조정기획관, 거대과학지원관을 통해 그동안 과기부에서 수행해오던 과학기술 정책 및 전략, 문화, 정보, 조정, 주자분석, 연구성과 관리, 정책자문, 우주정책 및 개발, 핵융합 연구 등의 행정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학술연구정책실에는 대학자율화추진단과 함께 이전의 교육부에서 대학입시 등의 업무를 담당해오던 대학지원국 업무가 배정돼, 대학제도과, 대학경영지원과, 연구기관지원과, 학연협력지원과 등이 소속된 대학연구기관지원정책관을 통해 제반 대학관련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동안 과기부에서 수행해오던 과학기술 인력 양성 업무는 제 1차관 산하 인재정책실로 배정됐다. 제 1차관은 영어교육강화추진단, 교육분권화추진단을 통해 새 정부가 공약한 영어 공교육 혁신, 교육분권화를 수행하는 한편, 인재정책실을 통해 과학기술 및 산업 인력 양성과 함께 영재교육 등을 관장하게 된다.

▲ 27일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내정자. 
인재정책실은 기존의 인적자원정책본부 등이 재편된 것으로, 산하에 인재정책기획관, 인재육성지원관, 인재정책분석관 등 3개관과 인재정책총괄과, 과학기술인력과 산업인력양성과, 영재교육지원과, 학교정보분석과 등 12개 과를 두고 있다.

기존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수행해오던 정부 R&D 예산 조정 및 배분기능은 기획재정부로 이전된다. 과기부에서 해오던 산업 관련 주요 R&D 사업 및 평가 업무는 지식경제부로 이관된다. 이에 따라 약 2조 6천억 원의 과기부 R&D 예산 중 5천100억 원이 지식경제부로 이전된다.

26개 출연연구소 중 13개 출연연의 관리 업무는 지식경제부로 이전된다. 지식경제부는 산업기술연구회에 소속돼 있던 생산기술연구원, 전자통신연구원, 식품연구원, 기계연구원, 전기연구원, 화학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안정성평가연구소와 공공기술연구회에 소속돼 있던 철도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지질자원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등 13개 출연연 을 관할하게 된다.

R&D특구기획단 업무도 지식경제부로 이관된다. 현행 대통령령의 ‘과학기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에 따르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과학기술부에 연구개발특구기획단을 두도록 하고 있었는데, 정부조직개편과 함께 기획단 업무가 지식경제부로 이관됐다. 기상청 업무는 환경부로 이관된다. 

29일 차관 인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곧이어 1급 등 후속 인사가 뒤따를 전망이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에는 신설 부서가 많아 인사 담당자들은 그 자리를 어떤 인물로 채울 지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과학기술부 인력 425명 중 395명은 교육과학기술부로 유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강봉 편집기획위원 |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08.03.03 ⓒ Science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