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영재교육대상자 4만명 선발…내년 전체학생 1%까지 확대

                                                                                                    <뉴스클리핑 2007. 05.10>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78&article_id=0000032821§ion_id=117&menu_id=117


올해 전국적으로 4만2725명의 학생이 교육청 및 대학에 설치된 영재교육원과 각급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받는다. 이는 전체 교육대상자의 0.5%에 해당하는 학생으로 정부는 2008년부터 영재교육 대상을 8만명(1%)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인적자원부가 9일 발표한 '시·도 교육청별 영재교육 시행계획 모음집'에 따르면, 각 시도 시·도교육청은 예년에 비해 영재교육 대상자를 확대하고 영재교육 영역을 다양화하여 각 분야의 재능있는 학생들을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영재교육대상자가 3805명이었지만 올해는 4630명으로 확대했다. 영재교육기관도 초등학생 영재학급 11곳을 신설한 것을 비롯해 정보과학, 수학, 문예창장, 과학 등의 분야로 확대했다.

정부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을 세워 영재교육기회를 확대하고, 초·중·고와 대학이 연계되는 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내일신문] 지자체 영재학교 유치 경쟁
서울 경기 대전 신청 … 부지 건립비 지원 교육부 “5월말 용역 결과 후 설립 여부 결정”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336455&tid=2&sid=E

 

지방자치단체가 교육시설 유치를 위한 무한경쟁에 들어갔다.

교육인적자원부의 과학영재고 추가 허용 검토에 서울 경기 대전 등이 유치전을 펴고 있다.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 가능성이 높지만 대전시의 총력 유치전으로 최종 결과는 미지수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경기도다.

지난 2001년부터 추진해 온 경기도와 교육청, 남양주시는 최근 남양주 화도읍 가곡리 6만6000㎡(2만평)의 도유지에 24학급 규모의 영재학교를 설립하기로 하고 건립비용과 운영비 분담비율 등에 의견을 모았다. 건축비 500억원은 경기도와 남양주시가 8:2로 분담하고 운영비 150억원은 3개 기관이 나눠 내기로 했다.


또 영재학교 설립의 전제조건인 무시험 대학 입학을 위해 14일 고려대와 학생들의 연수지원 및 연구·체험활동 지원, ‘대학과목 선 이수(AP)제도’ 적용 등을 내용으로 한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연세대, 서울대와도 같은 내용의 협약체결을 추진중이다.
경기도와 교육청은 전국 학생의 22%를 차지하고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정원의 40% 이상을 점하는 여건에서 경기지역에 영재학교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곳에 최신 시설로 최고의 교육여건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도교육청 이명재 장학사는 “영재들이 멀리 부산까지 가서 공부하는 바람에 경제적, 시간적으로 적지 않은 부담을 안고 있다”며 “후원회까지 구성한 남양주에 영재학교가 들어서면 미래의 성장동력을 창출할 세계적인 영재를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도 기존 과학고와 별도로 영재학교 신설을 추진중이다.

시와 교육청은 서울과학고 이전부지와 시설을 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시는 영재학교 유치가 확정되면 구체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기존 과학고를 영재학교로 전환하고 대전 동부지역에 추가로 과학고를 설립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시와 교육청은 지난 2월 발주한 ‘과학영재학교 설립방안 연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구체적인 협력사항을 확정짓는다는 복안이다.
교육지원조례까지 만든 대전시는 과학영재교육센터 건립과 첨단 기자재 구입, 기숙사 현대화 등에 150억원을 지원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 6000명이 넘는 박사를 보유한 대전시와 교육청은 인적, 물적 자원이 타 시도보다 풍부하다는 것을 강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전시 최태수 교육협력담당은 “과학영재가 단위 인구 당 가장 밀집해 있는 곳이 대전인데도 영재학교가 없는 실정”이라며 “교육관련 인사들과의 다각적인 접촉을 통해 영재학교를 꼭 유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승인권을 가진 교육부는 조심스런 반응을 나타냈다.

교육개발원에 맡긴 용역 결과가 나오고 정책 방향이 정해져야 중앙영재교육진흥위원회를 개최해 영재학교 설립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생각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 처음으로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졸업생이 배출되면서 영재학교에 대한 성과를 평가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어 연구 용역을 발주한 것”이라며 “5월말에 완료되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확대 여부를 결정해 지자체의 신청을 수용할지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선상원 김신일 김성배 기자

won@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