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의 본질은 직장 內에서, 업무시간에, 업무와 관련하여 능력을 개발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효과적인 전략은 "약점이 아닌 강점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다음의 3가지 전략을 통해, 진정한 자기개발과 역량있는 모습을 이뤄가는
여러분들이시길 바랍니다.
1. 약점보완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전략경영 분석기법 중의 하나인 SWOT분석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SWOT분석이
란 내부환경을 강점과 약점(Strength & Weakness) 요인으로 나누고, 외부환경을
기회와 위협(Opportunity & Threat)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SO
(Strength Opportunity)전략, ST(Strength Threat)전략, WO(Weakness
Opportunity)전략, WT(Weakness Threat)전략 등 4가지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
습니다. WO전략(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살리는 전략)이나 WT(약점을 보완하면
서 동시에 위협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는 전략)을 주요 전략으로 쓰는 사람이나
기업들은 평균치보다 못한 삶(혹은 경영)을 영위합니다. 하지만, SO전략(강점을
가지고 기회를 살리는 전략)이나 ST전략(강점을 가지고 위협을 회피하거나 최소
화하는 전략)을 쓰는 사람들은 모두 1등 삶(혹은 경영)을 살고 있음을 우리는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는 1과 0의 시대입니다. all or nothing(모든 것이 아니
면 아무 것도 얻을 수 없는) 시대에는 약점보완만으로는 부족합니다.
2. 자신의 강점을 찾으십시오.
현대 경영학의 거장 피터 드러커 교수는 「프로페셔널의 조건」이라는 책에서 "피
드백 분석"을 통하여 자신의 강점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아주 중요한 부분이
니 바로 아래의 글을 집중해서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직장 내에서 업무시간에 자
기가 맡은 일을 여러 개의 단위로 나누십시오. 일이 끝나면 이 "단위"들에 대하여
평가를 내리십시오. 잘 한 부분은 O, 제대로 하지 못한 부분은 X로 표기를 합니다.
예를 들어, 정보관리과정의 교육기획은 정보검색, 정보분석, 의사결정이라는 3부
분으로 나눌 수가 있는 데, 교육기획이라는 전체를 두고서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
라 정보검색은 O, 정보분석은 O, 의사결정은 X 이런 식으로 평가를 하는 것입니
다. 자기가 맡게 되는 일에 대하여 이런 평가를 6개월 내지 1년만 하면 자신의 강점
을 찾을 수 있는 데, 이것이 정말 자신의 강점을 찾는 유일한 길입니다.
3. 자신의 강점에 집중 투자하십시오.
재테크 투자 중 가장 믿을 만한 투자는 바로 자기자신에 대한 투자라고 합니다. 투
자에는 위험이 있게 마련인 데 이 위험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관심을 갖고
더 많은 정보를 얻는 것입니다. 내가 아는 만큼 투자의 위험은 낮아진다는 것이지
요. 이런 의미에서 저는 자기자신에 대하 투자가 가장 위험하지 않은 일이라고 생
각합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자신의 "강점"에 투자하는 것은 더욱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자신의 강점에 집중 투자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
습니다. 그 중 한 가지 방법은 강점이 있는 전문적인 기업에서 일하는 것입니다. 전
문회사에서 자기보다 더 나은 전문가들과 함께 일을 하면서 배우는 것입니다. 이런
배움은 업무외 시간에 업무외 장소인 학원 등에서 배우는 것과는 질적으로 다릅니
다. 또 다른 하나는 자기가 잘하는 부분을 계속적으로 업무를 맡는 것입니다. 년 단
위 혹은 월 단위의 업무분장 때에 "이 일은 내가 계속해보고 싶다. 그래서 회사에
큰 뭔가를 남기고 싶다"는 의지를 보이고 이를 실천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4. 약점보완은 이렇게 하십시오.
직장인이 약점을 보완하지 않고 전문가로서만 살 수는 없지요. 약점보완에는 "항상
강점의 일을 하기"와 "다른 사람의 도움받기"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항상 강점
의 일을 하기란 집중적인 강점투자의 연장선입니다. 자신이 가장 잘하는 일을 자신
의 강점으로 보면 두 번째 잘하는 일은 약점이 됩니다. 그러나, 이 두 번째 잘하는
일은 다른 세 번째로 잘하는 일 이하의 일들과 비교해보면 가장 잘하는 일이 되겠
지요. 이렇게 자신의 두 번째 강점을 항상 보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일을 하는 자
세가 중요합니다. 다른 사람의 도움받기는 자신이 가장 잘하지 못하는 일을 하는
방법입니다. 정중하게 다른 사람에게 부탁해서 도움을 받는 방법입니다.
'정책 > 직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의 진정 성공하는 사람 (0) | 2006.02.09 |
---|---|
[스크랩] 3분안에 내 뜻을 이루는 법 (0) | 2006.02.09 |
[스크랩] 인생을 바꾸는 퇴근후 3시간 (0) | 2006.02.09 |
[스크랩] 열정은 천재의 재능보다 낫다~~(펌) (0) | 2006.02.09 |
[스크랩] 일도 연애도 잘되는 습관 (0) | 200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