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의 유행어 열전… 자조와 한탄통해 세태풍자>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직장인들 사이에 설 곳이 좁아진 세태를 풍자하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메뚜기족’ ‘암반수’
‘사고무친’ ‘체온퇴직’ ‘삼팔선’ ‘오비이락’… 4자성어들이 있어 알 듯도 싶고, 모를 듯도
싶은 이들 말의 ‘새로운 의미’를 사전에서는 알려주기 않는다. 인터넷에서 직장인들의 자조와 한탄을 함께 들으며 비로소 알 수
있다.
이리저리 직장을 옮기는 ‘메뚜기족’에서부터 아무에게도 눈에 띄지 않게 조용히 숨을 죽이고 있는 ‘암반수’, 40대 직장인의
허무한 인생을 일컫는 ‘사고무친’, 물에 술탄 듯 술에 물탄 듯한 처세술을 펼치는 ‘소주파’ 등이 이들 신조어에 대한 설명이다. ‘이태백’이나
45살 정년을 뜻하는 ‘사오정’, 56살까지 회사에 남으면 도둑을 뜻하는 ‘오륙도’는 고전에 해당한다.
이들 신조어는 직장인 노릇이
빡빡해졌다는 것을 드러낸다. 퇴직압력으로 일이 줄어 창만 바라보고 있는 임원을 가리키는 ‘면창족’이나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체감정년이 36.5살로
체온과 같다는 점에 빗대어 ‘체온퇴직’, 38살까지 직장다니면 선방했다는 ‘삼팔선’, 40대에 반드시 정년퇴직을 한다는 ‘사필귀정’ 등 퇴직에 관한 신조어들이 많다. 이런
용어들은 ‘평생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졌음을 알리는 하나의 상징이다.
자기계발 없으면
‘조퇴(조기퇴직)’!
직장을 잡아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샐러던트’(직장인 이면서 동시에 학생인 사람)나
‘모잉족(모바일 잉글리시를 합성한 말로 출퇴근 시간을 이용해 휴대전화로 영어공부를 하는 사람을 뜻함)’ 처럼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해야 한다.
노력도 없이 ‘오비이락(50대와 비슷해 보이는 20대 직장인은 추락한다)’이나 ‘갤러리맨(일에 몰두하지 않고 주인의식도 희박한 직장인을 골프
경기의 관객인 갤러리에 비유한 것)’했다가는 ‘조퇴(조기퇴직)’신세를 면할 수 없다. 그래서 오비이락되지 않기 위해 성형수술까지 감행하기도
했다. 이런 용어들은 직장으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을 그대로 보여준다.
직장의 굴레에서 벗어나봐요?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니트족’으로 살거나, 부모에 경제적으로 얹혀사는
‘캥거루족’ 이 될 수도 있고, 직장이 없는 ‘백수’이면서도 아르바이트로 돈을 버는 ‘프리터족’ 으로 살아가기도 한다. ‘이태백’처럼 직장
잡기가 쉽지 않아 생기는 신조어들이다.
직장의 의미를 다시 찾아가는 신조어들도 있다. 고소득이나 승진보다는 여유있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즐기는 ‘다운 시프트족’처럼 살아가거나 ‘네스팅족’처럼 사회적인 성공보다 단란을 가정을 젊은
직장인을 선택할 수도 있다. 더이상 직장이 생계를 위한 영위수단에 그치는 게 아니라 삶의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미를 찾게 해주는 곳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용어다.
외환위기 뒤, 신조어들 늘어
그렇다면 직장생활을 비꼬는 이들 신조어들은 언제부터
만들어졌을까? 신조어들은 외환위기 당시 직장인들 사이에서 부쩍 늘었다. ‘명예퇴직’ 현상이 늘어나면서 이런 신조어들도 증가했다. 당시 조기 퇴직
열풍이 일면서 조기퇴직을 뜻하는 ‘조기’, 명예 퇴직을 일컫는 ‘명태’ 황당하게 직장에서 쫓겨난 ‘황태’, 잘리지 않으려다 퇴직위로금도 못받고
내몰린 ‘북어’, 최종시험 합격 후 입사도 하기 전에 정리해고 당하는 ‘노가리’ 등 생선 이름이 동원된 말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직장인들의 유행어 어떤것들이 있나
<직장인들의 유행어 열전… 자조와 한탄통해 세태풍자>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직장인들 사이에 설 곳이 좁아진 세태를 풍자하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메뚜기족’ ‘암반수’
‘사고무친’ ‘체온퇴직’ ‘삼팔선’ ‘오비이락’… 4자성어들이 있어 알 듯도 싶고, 모를 듯도
싶은 이들 말의 ‘새로운 의미’를 사전에서는 알려주기 않는다. 인터넷에서 직장인들의 자조와 한탄을 함께 들으며 비로소 알 수
있다.
이리저리 직장을 옮기는 ‘메뚜기족’에서부터 아무에게도 눈에 띄지 않게 조용히 숨을 죽이고 있는 ‘암반수’, 40대 직장인의
허무한 인생을 일컫는 ‘사고무친’, 물에 술탄 듯 술에 물탄 듯한 처세술을 펼치는 ‘소주파’ 등이 이들 신조어에 대한 설명이다. ‘이태백’이나
45살 정년을 뜻하는 ‘사오정’, 56살까지 회사에 남으면 도둑을 뜻하는 ‘오륙도’는 고전에 해당한다.
이들 신조어는 직장인 노릇이
빡빡해졌다는 것을 드러낸다. 퇴직압력으로 일이 줄어 창만 바라보고 있는 임원을 가리키는 ‘면창족’이나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체감정년이 36.5살로
체온과 같다는 점에 빗대어 ‘체온퇴직’, 38살까지 직장다니면 선방했다는 ‘삼팔선’, 40대에 반드시 정년퇴직을 한다는 ‘사필귀정’ 등 퇴직에 관한 신조어들이 많다. 이런
용어들은 ‘평생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졌음을 알리는 하나의 상징이다.
자기계발 없으면
‘조퇴(조기퇴직)’!
직장을 잡아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샐러던트’(직장인 이면서 동시에 학생인 사람)나
‘모잉족(모바일 잉글리시를 합성한 말로 출퇴근 시간을 이용해 휴대전화로 영어공부를 하는 사람을 뜻함)’ 처럼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해야 한다.
노력도 없이 ‘오비이락(50대와 비슷해 보이는 20대 직장인은 추락한다)’이나 ‘갤러리맨(일에 몰두하지 않고 주인의식도 희박한 직장인을 골프
경기의 관객인 갤러리에 비유한 것)’했다가는 ‘조퇴(조기퇴직)’신세를 면할 수 없다. 그래서 오비이락되지 않기 위해 성형수술까지 감행하기도
했다. 이런 용어들은 직장으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을 그대로 보여준다.
직장의 굴레에서 벗어나봐요?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니트족’으로 살거나, 부모에 경제적으로 얹혀사는
‘캥거루족’ 이 될 수도 있고, 직장이 없는 ‘백수’이면서도 아르바이트로 돈을 버는 ‘프리터족’ 으로 살아가기도 한다. ‘이태백’처럼 직장
잡기가 쉽지 않아 생기는 신조어들이다.
직장의 의미를 다시 찾아가는 신조어들도 있다. 고소득이나 승진보다는 여유있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즐기는 ‘다운 시프트족’처럼 살아가거나 ‘네스팅족’처럼 사회적인 성공보다 단란을 가정을 젊은
직장인을 선택할 수도 있다. 더이상 직장이 생계를 위한 영위수단에 그치는 게 아니라 삶의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미를 찾게 해주는 곳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용어다.
외환위기 뒤, 신조어들 늘어
그렇다면 직장생활을 비꼬는 이들 신조어들은 언제부터
만들어졌을까? 신조어들은 외환위기 당시 직장인들 사이에서 부쩍 늘었다. ‘명예퇴직’ 현상이 늘어나면서 이런 신조어들도 증가했다. 당시 조기 퇴직
열풍이 일면서 조기퇴직을 뜻하는 ‘조기’, 명예 퇴직을 일컫는 ‘명태’ 황당하게 직장에서 쫓겨난 ‘황태’, 잘리지 않으려다 퇴직위로금도 못받고
내몰린 ‘북어’, 최종시험 합격 후 입사도 하기 전에 정리해고 당하는 ‘노가리’ 등 생선 이름이 동원된 말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직장인들의 유행어 어떤것들이 있나
'교육자료 >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시대의 Paradox (Remake) (0) | 2006.01.25 |
---|---|
[스크랩] 폐타이어를 이용한 환타지아적인 작품들 (0) | 2006.01.25 |
[스크랩] 생명공학 용어 해설 (0) | 2006.01.11 |
[스크랩] 디자인시대. 앙드레김이 아파트내부디자인 (0) | 2006.01.11 |
[스크랩] 신세대 소비 형태 - 5가지 (0) | 200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