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요미우리 신문 2006년 4월 8일(토) 12면

 엘리트 양성

한류 맹렬한 위태로움도

한류의 영재교육은 일본에 참고가 되는 걸까 「노무현 대통령 자신도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의 영재교육 전반의 연구를 추진하는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센터」의 서혜애 소장(46)은 한국의 영재교육은 나라를 끌어 올리는 대 프로젝트라고 강조한다.

 

한국 정부는 2003년 개교된 한국과학영재학교 외에 10년간 정보 및 예술의 영재학교를 만들 방침이다. 

이들의 고교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전국의 각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영재학급들이다. 

센터는 ‘01년 이러했던 시책을 담보하기 위해 각 지자체가 추천한 우수한 교사의 연수제도도 확립했다.

그 수는 5년간에 약 4000명, 교사는 60시간의 기초연수를 마치면 보다 고도의 120시간의 연수에 임하고, 자기개발한 영재지도법에 대한 논문도 쓴다. 

영재교육은 무엇보다 보호자의 관심이 높다.

 

일본의 문부과학성에 해당하는 교육인적자원부의 과학실업교육정책과 종관 과장(56)은 한국에서는 교육이 신분상승의 유일한 수단,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영재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 제일의 긍지라고 주저없이 말한다.

 

단지 정부가 바라는 것과 국민의 생각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도 같은 「이과와 수학 차이」의 문제다.

 

일본의 대학입시센터 시험과 같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는 1995년에 자연과학계 지원자는 전체의 41.8%, 그것이 2004년에는 31.5%, 서 소장은 「‘97년의 통화위기에 맨 먼저 구조조정당한 것이 기업의 연구자였던 탓도 있다.

 

최근 우수한 학생이 의사나 변호사로 나가는 경향도 있다고 한다.

한편 정부는 영재교육의 대상자를 넓힐 방침인데 영재교육은 본래 숫자보다는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런데도 수량에 매달리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일본의 나루몽 교육대의 객원 연구원을 역임한 부산대 사범대학의 김부윤 교수(51)의 지적이다.

 

김교수는 게다가 일본이 한국처럼 영재교육이 급속히 진행하는 것을 권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학력은 높고 인격면에서 문제가 있는 젊은이도 많다.

오히려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관점이 중요하다고 경종을 울린다.

주변의 과도한 기대가 자신을 궁지에 몰아넣는다는 목소리도 있다.

일예가 서울대의 황우석 전 교수(징계 면직)에 의한 논문 조작 사건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도 동경대나 오사카대 등에서도 논문위조에 관한 의혹이 떠오르고 미국에도 같은 모양의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영재교육이 불상사의 근원이라는 시각은 피상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닌가. 급속한 공업화 성공에 편승해서 맹목적인 애국심으로 이어진 한국의 영재교육은 위태로움도 느낀다.

 

한편 교육개혁을 굉장하게 추진하는 약동감은 일본에는 느끼기 어려운 것이다. 

요는 발란스 일 것이다.

 

(시라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