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영재교육

유토리 교육(일본) 충실한 오키나와 꼴찌

일본 43년 만에 전국 학력평가 해보니…`유토리`에 충실한 오키나와 꼴찌 [중앙일보]
책 많이 읽는 학생 기초지식·응용력 고루 우수
TV·인터넷 즐기는 학생은 정답률 10% 뒤처져
학력보다 폭넓은 인성과 창조력 육성에 중점을 두는 일본의 이른바 '유토리(ゆとり) 교육'이 낙제점을 받았다.

유토리 세대는 지식을 활용하는 응용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43년 만에 올 4월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전원 220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규모 학력 테스트 결과다. 당초 유토리 교육을 통해 '응용 사고력'을 향상시키겠다는 일본 정부의 의욕은 물거품이 됐다.

국어와 산수(수학) 두 과목을 각각 '기초지식'과 '지식응용'으로 나눠 실시한 이번 시험 결과 기초지식의 정답률은 80% 가까이 됐으나 응용력은 60~70%에 그쳤다. 초등학교 6학년 국어의 경우 그 격차가 18.7%나 됐다.

일본이 '스스로 배우고 생각하는 힘' 육성을 기치로 2002년 '유토리 교육'을 본격 도입하면서 토요일 수업이 사라지고 일선 교육현장의 학습량은 약 30% 줄었다. 초등학생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연간 100시간가량 수업량이 적어졌다. 2003년 실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학력조사(PISA) 결과 일본 학생들의 학력 수준은 12년 전인 91년에 비해 ▶수학이 1위에서 6위로 ▶독해력이 8위에서 14위로 폭락했다. 이 바람에 학력 저하에 대한 위기의식은 사회 전반에 퍼져 있다.

국가의 '유토리 교육' 방침과 별개로 소수 정예 교육, 지자체의 독자 학력시험 도입 등 학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 온 아키타(秋田)현의 평균 성적이 가장 높았던 반면 유토리 공교육에 의존한 오키나와(沖繩)현은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또 TV 시청, 게임, 인터넷을 하루 4시간 이상 하는 학생의 정답률은 다른 학생에 비해 10%가량 떨어졌다. 반면 책을 많이 읽는 학생일수록 국어.산수 모두 기초지식과 응용력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유토리 교육=여유 교육이란 뜻으로 학생의 자율성과 종합 인성교육을 중시하는 교육. 70년대 시작해 2002년 일본 공교육에 본격 적용됐다. 학생들의 창의력을 길러준다는 명분을 내세웠으나 공부를 덜 시키는 바람에 학력 저하를 불렀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200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