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9 ⓒScience Times | |
이덕환의 과학문화 확대경 (110) | |
![]() 반세기 전 미국은 과학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서 스푸트니크 충격을 극복하고 오늘날 세계를 지배하는 강대국이 되었다. 그런 미국도 국가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시 한 번 과학 교육을 강화하고 유능한 과학자 확보를 위한 획기적인 개혁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도 ‘과기흥국’(科技興國)에 이어 ‘과학적 발전관’을 내세우면서 과학을 통한 국가 발전을 도모하기 시작했다. 일본도 과학 교육 강화를 핵심으로 하는 ‘교육재생’(敎育再生)을 시도하고 있고, 유럽연합도 과학기술자 확보를 위해 이민법에 ‘블루카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우리도 과학기술에 대한 확고한 확신을 적극적으로 행동에 옮길 신념을 가지고 있는 지도자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세종대왕처럼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선진국 진입을 가능하게 만들어줄 리더십을 가진 대통령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대통령이 과학자일 필요는 없다 흔히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으로 1980년대 영국의 경제 부흥을 이끌고 최장기 집권의 기록을 이룩했던 마가렛 대처 총리가 화학과 출신이고, 중국의 후진타오를 비롯한 지도층에 공대 출신의 비율이 지극히 높다는 사실이 많이 거론된다. 독일의 마르켈 총리도 이공계 출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언젠가부터 과학기술계에서 과학을 전공한 정치인들이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근거로 자주 거론되는 이름들이다. 그러나 대처 총리는 옥스퍼드에서 화학을 전공해서 학사 학위를 받았지만 28세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1970년부터 4년 동안 교육과학장관을 역임한 것을 제외하면 대처 총리가 과학 분야에서 직접 일을 하지도 않았고, 과학 자체에 특별히 관심을 가졌던 흔적도 찾기 어렵다. 중국의 정치 지도자들 중에 이공계 출신이 유별나게 많은 것도 중국의 개혁과 개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났던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얼마 전에 새로 구성된 중국 정부의 지도층에서는 이공계 출신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실 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과학자 출신 정치인은 이스라엘 건국의 영웅으로 초대 대통령을 역임한 카임 바이츠만이었다. 러시아에서 출생해서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영국에서 활동을 했던 바이츠만은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무연화약의 제조에 필요한 아세톤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던 본격적인 화학자였다. 그는 아세톤 제조를 통해 확보한 정치적인 영향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영국으로부터 이스라엘 건국의 약속을 받아냈고, 1949년에 이스라엘의 건국에 성공하여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진짜 과학자 출신의 정치 지도자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실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로알드 호프만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과학자가 정치 지도자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정치 지도자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합리성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학자들에게는 매우 낯선 것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과학자 출신의 정치인도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의 현실에서 과학자 출신의 정치 지도자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과학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진 대통령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과학기술계의 리더십도 중요하다 결국 우리 과학기술계는 국가 지도자가 과학기술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도록 노력할 수 있을 뿐이다. 과학기술이 현대 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임을 분명하게 인식시키고, 과학 교육의 강화를 통해 유능한 과학기술 인력을 확보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주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노력이 과학기술계의 집단이기주의로 오해받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 과학기술계가 직접적인 이익을 챙기려는 자세보다는 사회를 위해 헌신하겠다는 자세를 보여주어야만 한다. 과학기술계의 현실 참여는 신중해야 한다. 우리가 경험했듯이 대표성을 인정받지 못한 현실 참여는 이미 마련되어 있는 제도마저 무력화시켜서 돌이킬 수 없는 화(禍)를 불러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런 뜻에서 최근 과학기술계 일부의 현실 참여는 걱정스러울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국가의 리더십을 이야기하기 전에 우리 과학기술계의 리더십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던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 과학기술계는 분야별, 지역별로 더 많은 지원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심화되면서 리더십의 상실을 경험했다. 과학기술계 전체를 생각하는 진정한 리더를 찾아보기 어려운 환경이 되어 버렸다는 뜻이다. 억지로 만들어낸 ‘스타 과학자’가 과학기술계의 리더가 될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계를 진정으로 이끌어갈 리더십이 더욱 절실한 형편이다. |
'정책 > 영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토리 교육(일본) 충실한 오키나와 꼴찌 (0) | 2007.11.03 |
---|---|
과학기술, 리더십을 만나다 (0) | 2007.10.31 |
블로그 왜하나 (0) | 2007.10.21 |
산만한 아이' 간접흡연 때문? (0) | 2007.10.19 |
방사선동위원소 이용 "핵의학"과 안전성 (0) | 2007.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