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 상상력으로 날아오른 ‘메뚜기’ | ||
사이언스타임즈 라운지
| ||
![]()
하지만 두바이의 빌딩 숲속에서는 메뚜기를 단 한 마리도 찾아볼 수 없다. 개발되기 전에는 사막이었으니 메뚜기가 살 만한 곳이 아니었다. 그럼 왜 UAE 연합국 중의 하나인 두바이라는 작은 토호국에 그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을까. 아랍권의 역사학자들조차 그 정확한 유래는 알지 못한다. 아마 ‘메뚜기 떼에 의해 황폐화된 땅’ 같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을 뿐이다. 옛날 두바이는 황량한 땅이었다. ‘동방견문록’을 쓴 마르코 폴로는 두바이에 대해 진주조개잡이가 번성한 지역이라고 소개했다. 모래바람만 날리던 걸프만의 작은 어촌에서 그것은 유일한 생계 수단이었다. 16세기 대항해시대에 서구 열강이 해상권을 장악했을 때 호르무즈 해협을 지키고 있는 두바이는 해적질로 먹고살기도 했다. 그런데 진주 채취나 어업으로 겨우 먹고살던 두바이에 엄청난 폭풍이 몰아닥쳤다. 1930년대에 일본인들이 인공진주 양식에 성공하면서 두바이의 진주 수출길이 막혀버린 것이다. 그 후 먹고사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몸부림치던 두바이에 다행스럽게도 1966년부터 석유가 쏟아져 나왔다. 그것만 팔아먹어도 50~60년은 편안히 살 수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두바이의 국왕은 석유가 고갈될 때를 미리 대비해 ‘세계 허브 두바이 건설계획’을 추진했다. 세계적인 국제 무역항으로 발돋움한 두바이의 대역사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두바이의 해안을 비행기에서 내려다보면 4가지의 독특한 구조물이 눈에 들어온다. 제일 왼쪽에는 초승달 모양의 팜 제벨 알리가 보이고, 그 옆으로 야자수 모양의 팜 주메이아, 그리고 맨 오른쪽에는 부채살 모양을 한 팜 데이라가 있다. 이 세 개의 인공섬 중 가장 먼저 개발된 팜 주메이라만 해도 상암 월드컵경기장의 420배인 25㎢에 달한다. 팜 제벨 알리는 200㎢, 팜 데이라는 52.5㎢로서, 섬을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모래 양은 상상을 초월한다. 팜 주메이라와 팜 데이라 사이에는 300개의 섬이 세계 지도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더 월드(The WORLD)’가 위치한다. 사업을 시작하기도 전에 70%가 분양되었다는 그곳에는 한반도 모양을 한 섬도 있다. 그밖에도 세계 최고층 빌딩인 버즈 두바이, 세계 최초의 7성급 호텔인 버즈 알 아랍, 디즈니랜드보다 8배나 크다는 세계 최대의 테마파크인 두바이랜드 등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건축물이 속속 건설되고 있다. 이제 두바이에서 ‘세계 최초’나 ‘세계 최고’는 너무 흔한 말이다. 거기에는 우리나라 기업들도 한몫을 거들고 있다. 세계 최고 빌딩인 버즈 두바이의 건설을 삼성이 맡고 있는데, 콘크리트를 100층 높이까지 한꺼번에 뽑아 올리는 세계 최초의 공법으로 짓고 있다. 또 극심한 물 부족지역인 두바이는 해수의 담수화, 즉 바닷물을 끌어들여서 염분을 제거하는 기술로 물을 얻고 있다. 바로 그 기술력도 우리나라 기업인 두산이 제공하고 있다. 석유를 팔아 벌어들인 막대한 자금으로 세계 최고의 첨단 공법들을 다 끌어 모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 과연 막대한 자금과 첨단기술력으로만 두바이의 신화가 가능했을까. 그보다는 두바이의 성공요인을 창의성에서 찾는 이들이 많다. 1990년대 초 왕세자로 임명된 뒤 지난해 1월 국왕에 오른 셰이크 무하마드는 두바이를 탈바꿈시킨 장본인으로서 중동의 떠오르는 영웅이다. 불과 10여 년 만에 두바이를 상전벽해로 만든 그의 추진력의 근원은 바로 상상력이다. 시인인 그는 순전히 자신의 시적 상상력만으로 수중 호텔인 하이드로폴리스를 짓겠다고 제안했다. 그때 그의 측근들은 모두 반대했지만, 이제 내년이면 물고기들이 내려다보는 침실에서 잠을 잘 수 있게 된다. 코엑스 빌딩의 2배에 달하는 유리 빌딩을 바다에 짓겠다는 생각은 시적 상상력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최근 서울시에서 한강의 반포지구에 두바이의 팜 아일랜드와 같은 인공섬을 조성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문화와 레저시설을 설치해 서울의 또 다른 랜드마크로 꾸민다는 그 인공섬에도 시적 상상력이 가미된 컨버전스를 기대해본다. | ||
/이성규 편집위원 yess01@hanmail.net | ||
2007.08.02 ⓒScience Times |
'교육자료 >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용적 기능 강조한 새로운 한옥 (0) | 2007.08.05 |
---|---|
2004~2007년 낙뢰 인명사고 분석해보니 (0) | 2007.08.05 |
소금에 관한 20가지 상식 (0) | 2007.07.31 |
소금에 관한 20가지 상식 (0) | 2007.07.31 |
누가 완장차고 거들먹 거리나(중앙일보) (0) | 2007.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