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점형 사고(deficit-based thinking)와 강점형 사고(asset-based thinking: ABT)라는
분류가 흥미있지 않습니까? 강점형 사고를 하면 저절로 에너지와 열정이 솟아나고
삶이 풍성해지게 된답니다. 사고의 습관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강점형으로 생각하려면 우리의 모든 사고방식을 조금씩 변화시켜야 한다.
세상에 대한 시각을 바꾸면 살아가는 방식도 조금씩 달라진다.
부정적인 면보다는 긍정적인 면에 관심을 갖고, 자포자기와 절망보다는 희망과 포부를 갖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강점형 사고는 주변 사람들에게 쉽게 전염된다는 사실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강점형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그런 기회를 놓치지
말고 자신이 가진 긍정적인 에너지를 마음껏 발휘해보자, 실패와 좌절의 고통이 아닌,
짜릿한 승리의 기쁨을 느껴보자.
2. 여러분은 아래의 말 가운데 어떤 말이 친숙하게 들리는가요?
지금 또 어떤 말을 중얼거리고 있는가요?
[이런 말은 단점형 사고] -> [이런 말은 강점형 사고]
- 이번에도 안 되겠어. ->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어.
- 예감이 좋지 않아! -> 곧 좋은 일이 생길 거야!
- 아예 하지 말 걸 그랬어. -> 무엇이 잘못된 걸까?
- 아무리 해도 소용없을 거야. -> 어떻게 하면 효과가 있을까?
- 안 돼! 두 번 다시는 안돼! -> 전에도 해봤으니까 이번엔 자신 있어.
- 절대 해낼 수 없어. -> 차근차근 해보는 거야.
- 내 그럴 줄 알았지. -> 무슨 일이든 잘해낼 수 있어.
- 그건 불가능해. -> 가능한 것은 무엇일까?
- 상황이 좋지 않아. -> 모든 게 완벽할 필요는 없어.
- 그는 제 정신이 아니야. -> 그가 잘할 수 있는 방법이 뭘까?
- 절대 이 일을 끝낼 수 없어. -> 예상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릴 뿐이야.
- 진짜 죽을 맛이군! -> 이번 일은 좀 실망스러운데.
- 난 정말 구제불능이야. -> 이번 일에서 뭘 배울 수 있을까?
- 항상 왜 엉망이 되는 거지. ->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이번에도 망쳤어! ->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보자.
- 내 일에 상관하지 마! -> 이제 내가 나설 때야.
- 그렇게 했으면 좋았을 텐데! -> 지난 잘못에 연연할 필요는 없어.
- 도대체 왜 난 늘 이 모양이지? -> 이건 나의 실수였어.
- 누구 잘못인지 가려보자. -> 이미 끝난 일이니 다시 시작해보자.
3. 어처구니 없는 실수를 저질러 일을 그르쳤을 때...
[단점을 가진 사람은] -> [강점형 사고를 가진 사람은]
(-)자기 스스로 질책한다. -> (+) 실수를 인정한다.
(-)괜히 시작한 건 아닌지 후회한다. -> (+) 잘못된 부분을 고친다.
(-)자신의 어리석음을 한탄한다. -> (+) 다른 방법으로 했다면 더 잘했을거라고 생각한다.
(-)항상 과거를 되돌아보며 매사에 -> (+)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대담하게 다시 추진한다.
경계하고 조심한다.
4. < br>어떤 상황에서든 자유롭게 행동하는 사람은 빈곤, 실패, 상실 등의 역경 앞에서도
침착하고 의연하다.
롤로 메이, 칼 로저스, 에리히 프롬, 에이브러햄 매슬로 같은
유명한 인본주의적 심리학자들은 자유로움과 자율성이 긍지를 키워준다고 믿었다.
또한 자유와 긍지야말로 험난한 역경을 이겨내는 데 필요한 힘과 의지의 바탕이라고
생각했다.
-출처: 캐서린 크래머 & 행크 워시아크, <보는 방식을 바꿔라>.
'칼럼모음 > 공병호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가를 위한 조언 (0) | 2007.02.01 |
---|---|
우리의 삶에 행복 더하기 (0) | 2007.01.28 |
사업성공 아이디어 7가지(마사 스트어트) (0) | 2007.01.25 |
아부의 기술: 자연스럽고 세련되게 하라! (0) | 2007.01.22 |
아부의 기술(2) (0) | 2007.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