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의 기술 -
좋은 대화는 좋은 질문에서 시작된다
훌륭한 대답보다는 훌륭한 질문이 한 수위
대화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하면 그것은 묻고 대답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아니 우리가 사는 것 자체가 바로 묻고 대답하는 것 아닐까.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스스로에게 묻고, 그 대답을 몸으로 실천해 보이는 것. 이것이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몸으로 실천해 보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생각이 중요하듯이 대화를 나눌 때 질문은 대답보다 한 수 위의 위력을 지닌다. 아니 좋은 대답과 좋은 질문 중에 어떤 게 더 나은 것이냐를 평하기에 앞서 질문은 대화를 시작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두 사람이 한 자리에 앉아 있다. 그런데 어느 누구도 선뜻 입을 떼지 못하고 있다. 십중팔구 두 사람은 예상 질문에 대한 대답은 잔뜩 준비해왔는데, 상대방이 질문을 하지 않기 때문에 꿀먹은 벙어리가 되어버린 101번째 선을 보러나온 비참남과 비참녀이리라. 대화는 질문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누군가가 묻지 않아 주는데 아무리 훌륭한 답변을 준비했으면 무엇하랴. 그래서 나는 권장한다.
혹시 선을 보러 나가기 위해 나갈 준비를 하는 당신이라면 대답이 아닌 질문을 준비하시라. 상대방은 당신의 대답을 듣고 당신을 판단하기보다는 당신이 던지는 훌륭한 질문으로 당신을 더 정확하게 판단했다고 여긴다. 너무나도 많은 예시문들이 세상에 나와 있기에 대답에는 큰 차이가 없는 법이니까.
핵심에 다다르는 피라미드식 질문
질문은 대화의 목적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수단이자 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을 돕는 윤활유이기도 하다.
선생님은 학생에게 질문을 하고, 회의를 진행하는 사람은 회의의 참가자에게 질문을 한다. 이 경우의 질문은 보다 직접적이다. 의사소통의 목적을 보다 정확하게 하고, 소기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질문은 피라미드의 형태를 갖는다. 어떤 사람은 대뜸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질문한다. 이 경우에는 상대방이 적당한 대답을 할 수가 없다.
만약 애정 싸움을 벌이고 있는 연인이 있다고 하자. 이럴 때 남자는 대뜸 “도대체 요즘 내게 왜 소원한 것인지 이유를 말해보라?”라며 덤비기 쉽다. 하지만 이래서는 대화가 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제대로 된 남자라면 먼저 여자의 생활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일단 여자의 생활에서 달라진 부분부터 점검해볼 것이다. 직장은 왜 옮겼는지, 갑자기 무리를 해서 차를 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 등등.
그리고 여기서부터 시작해 자신이 알고자 하는 애정이 식은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에 접근한다면 여자는 보다 쉽게 남자가 원하는 답을 전해줄 것이다.
이처럼 질문은 피라미드의 형태를 띠고 목적에 접근하도록 돕는 수단이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아닌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이야기의 핵심에 접근해야 좋은 대화가 된다.
좋은 질문을 위해 준비해야할 몇가지 사항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리의 대화인가에 따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중요한 희의의 자리라면 회의 내용에 대한 숙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아주 조그만 지식만 있어도 적당한 화술만 갖추었다면 대답은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질문은 던질 수가 없다. 대답에는 대충대충이 있을 수 있지만 질문에는 통하지 않는 것이다.
그 자리에 알맞은 몇 가지의 질문 정도는 사전에 준비하는 것도 좋은 질문을 연습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답에는 임기응변이 있을 수 있지만 질문에서는 블가능하다. 따라서 예상치 못하게 대화가 끊기거나 대화가 엉뚱한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를 대비한 몇 가지 질문을 준비하도록 하자. 이때 자신이 준비한 질문을 던지는 포인트를 정확하게 잡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좋은 질문을 위해서는 평소 풍부한 상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식 있는 사람은 어떠한 경우에서도 상대방에게 질문을 던져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된다. 신문이나 주간지, 월간지 등을 통해 시사적인 상식을 다양하게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화술을 갖추고 있다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예를 이용하면서 질문을 던질 수 있을 것이다.
Action List
1. 대화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명심하라.
2. 사전에 질문 목록을 만들어두면 수월하게 자리를 이끌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라.
3. 다양한 질문은 다양한 상식으로부터, 정확한 질문은 정확한 사고로부터 나옴을 명심하라
훌륭한 대답보다는 훌륭한 질문이 한 수위
대화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하면 그것은 묻고 대답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아니 우리가 사는 것 자체가 바로 묻고 대답하는 것 아닐까.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스스로에게 묻고, 그 대답을 몸으로 실천해 보이는 것. 이것이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몸으로 실천해 보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생각이 중요하듯이 대화를 나눌 때 질문은 대답보다 한 수 위의 위력을 지닌다. 아니 좋은 대답과 좋은 질문 중에 어떤 게 더 나은 것이냐를 평하기에 앞서 질문은 대화를 시작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두 사람이 한 자리에 앉아 있다. 그런데 어느 누구도 선뜻 입을 떼지 못하고 있다. 십중팔구 두 사람은 예상 질문에 대한 대답은 잔뜩 준비해왔는데, 상대방이 질문을 하지 않기 때문에 꿀먹은 벙어리가 되어버린 101번째 선을 보러나온 비참남과 비참녀이리라. 대화는 질문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누군가가 묻지 않아 주는데 아무리 훌륭한 답변을 준비했으면 무엇하랴. 그래서 나는 권장한다.
혹시 선을 보러 나가기 위해 나갈 준비를 하는 당신이라면 대답이 아닌 질문을 준비하시라. 상대방은 당신의 대답을 듣고 당신을 판단하기보다는 당신이 던지는 훌륭한 질문으로 당신을 더 정확하게 판단했다고 여긴다. 너무나도 많은 예시문들이 세상에 나와 있기에 대답에는 큰 차이가 없는 법이니까.
핵심에 다다르는 피라미드식 질문
질문은 대화의 목적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수단이자 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을 돕는 윤활유이기도 하다.
선생님은 학생에게 질문을 하고, 회의를 진행하는 사람은 회의의 참가자에게 질문을 한다. 이 경우의 질문은 보다 직접적이다. 의사소통의 목적을 보다 정확하게 하고, 소기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질문은 피라미드의 형태를 갖는다. 어떤 사람은 대뜸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질문한다. 이 경우에는 상대방이 적당한 대답을 할 수가 없다.
만약 애정 싸움을 벌이고 있는 연인이 있다고 하자. 이럴 때 남자는 대뜸 “도대체 요즘 내게 왜 소원한 것인지 이유를 말해보라?”라며 덤비기 쉽다. 하지만 이래서는 대화가 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제대로 된 남자라면 먼저 여자의 생활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일단 여자의 생활에서 달라진 부분부터 점검해볼 것이다. 직장은 왜 옮겼는지, 갑자기 무리를 해서 차를 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 등등.
그리고 여기서부터 시작해 자신이 알고자 하는 애정이 식은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에 접근한다면 여자는 보다 쉽게 남자가 원하는 답을 전해줄 것이다.
이처럼 질문은 피라미드의 형태를 띠고 목적에 접근하도록 돕는 수단이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아닌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이야기의 핵심에 접근해야 좋은 대화가 된다.
좋은 질문을 위해 준비해야할 몇가지 사항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리의 대화인가에 따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중요한 희의의 자리라면 회의 내용에 대한 숙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아주 조그만 지식만 있어도 적당한 화술만 갖추었다면 대답은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질문은 던질 수가 없다. 대답에는 대충대충이 있을 수 있지만 질문에는 통하지 않는 것이다.
그 자리에 알맞은 몇 가지의 질문 정도는 사전에 준비하는 것도 좋은 질문을 연습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답에는 임기응변이 있을 수 있지만 질문에서는 블가능하다. 따라서 예상치 못하게 대화가 끊기거나 대화가 엉뚱한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를 대비한 몇 가지 질문을 준비하도록 하자. 이때 자신이 준비한 질문을 던지는 포인트를 정확하게 잡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좋은 질문을 위해서는 평소 풍부한 상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식 있는 사람은 어떠한 경우에서도 상대방에게 질문을 던져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된다. 신문이나 주간지, 월간지 등을 통해 시사적인 상식을 다양하게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화술을 갖추고 있다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예를 이용하면서 질문을 던질 수 있을 것이다.
Action List
1. 대화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명심하라.
2. 사전에 질문 목록을 만들어두면 수월하게 자리를 이끌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라.
3. 다양한 질문은 다양한 상식으로부터, 정확한 질문은 정확한 사고로부터 나옴을 명심하라
출처 : 블로그 > Grace kelly | 글쓴이 : Grace kelly [원문보기]
'경영관리 > 대화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화의 기본 (0) | 2006.02.09 |
---|---|
[스크랩] 유쾌한 대화법 (0) | 2006.02.09 |
[스크랩] 말 잘하는 법 (0) | 2006.02.09 |
[스크랩] 혈액형별 접근방법 (0) | 2006.02.09 |
[스크랩] 눈을 통한 상대의 심리 (0) | 200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