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보다 팀워크에 집중하라 팀제는 과거 수직적 조직문화와 달리 수평적으로 조직문화가 형성되고, 시너지를 낸다는 점에서 큰 차이점이 있다. 초창기에는 상명하달식의 수직적 조직구조에 따른 폐단을 없애기 위해 도입하는 사례가 많았으나 현재는 도입단계를 한참 지나 "팀을 통해 어떻게 시너지를 낼 것인가?"가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팀이 곧 기업이 되고 경쟁력이 된 시대, 앞으로는 팀워크를 어떻게 버전업시키는가에 따라 기업의 흥망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개인이 아닌 '팀원'임을 인식하라 막강한 팀워크를 발휘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같은 곳을 향해 달리는 '목적 의식'을 가지는 것이다. 팀원이 단결, 협력하여 하나의 목표를 정하고, 그에 따른 팀의 나아갈 방향을 결정한다. 팀의 방향과 세부 계획이 세워졌다면 목표에 따른 최고 효과를 거두기 위해 팀워크가 절실히 필요하다. 혼자서 유능하다고 해서 팀이‘힘’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팀원 모두의 손발이 척척 맞아야 비로소 빛을 발하는 것이 바로 조직. 직장 상사라면 지금껏 쌓아 왔던 조직관리능력, 업무상황판단 노하우로 부하 직원을 잘 이끌어 주고, 지나치게 한 사람에게만 일이 편중되지 않도록 알맞게 조절해주도록 한다. 동료라면 서로 중요 업무를 체크해 주며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것도 필요하다. 일단 한 배를 탄 이상 자신이 아무리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이라도 개인이 아닌 '팀원'으로 일한다는 의식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라 팀원간에 서로의 의견이나 생각을 진솔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시간을 많이 갖는 것도 중요하다. 상사 혹은 동료 간 얼마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가지느냐에 따라 조직원들의 협동심과 단결력이 좌지우지된다. 휴식 시간 틈틈이 티타임을 갖거나 간담회 등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는 활동이 필요하다. 하루, 일주일, 한 달 단위로 업무 관련 대화는 물론 개인적인 이야기까지 주고받는 대화의 시간을 정기적으로 가져보자. 직접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거나 이메일이나 사내 채팅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간단한 제스처조차도 팀원들의 친밀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팀원 간 격이 없는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업무로 쌓인 스트레스를 다소 풀 수 있다면 업무 효과도 일취월장한다. 야유회나 체육대회를 백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경직된 사무실보다는 몸과 마음이 자유로워질 수 있는 행사를 통해 좀더 서로를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면 서로에 대한 신뢰가 자연스레 쌓이면서 팀의 조직력은 더욱 탄탄해질 것이다. '신바람'나는 조직을 만들어라! 팀원끼리의 지나친 경쟁은 일 자체에 흥미를 잃게 하는 것은 물론 팀원의 개인주의 성향을 부추기는 꼴이 돼 팀워크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자꾸만 가고 싶은 일터'가 되도록 동기 부여를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근무시간 외 특별한 이벤트로 팀의 분위기를 바꿔 보는 것이다 '맥주Day' 나'피자Day', '무비Day', '지각Day'등의 이벤트로 한번쯤 조직의 분위기를 새롭게 해보자. 팀원들이 직접 동료나 상사의 생일을 챙겨주는 것도 하나의 즐거운 이벤트. 신명나는 조직이 되면서 팀원 개개인의 여유로움이 회사 이익 창출에 플러스 영향을 끼칠 것이다. 적절한 '포상제도'로 사기를 북돋워라 명령과 획일적인 지휘체제가 난무하는 엄격하고 보수적인 조직일수록 효율적인 팀워크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직장 상사라면 낡은 권위의식을 버려라. 왜곡된 리더관을 가지고 있는 상사일수록 무조건 부하직원의 생각이나 의견에 반기를 들거나 묵살하려고 하는 일이 종종 있기 때문에 도전적이고 진취적으로 일을 수행하려는 이들의 사기를 꺾는다. 자신의 생각과 같지 않다고 무작정 강요하기보다는 조직원들의 이해를 구하고 팀원들의 사기를 북돋아 활기찬 조직을 이끌어 가는 '열린'마음의 자세가 리더에게는 필요하다. 한편 근무 실적에 대한 적절한 '포상제도'로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도 리더의 중요한 역할. 공정한 잣대로 팀원들의 능력을 인정해 주고, 최대한 잠재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밑거름이 되어주려는 자세를 가져야 훌륭한 팀워크를 기대할 수 있다.CEO Report
출처 : 블로그 > 보다 나은 삶을 위해 | 글쓴이 : 좋은산 [원문보기]
출처 : 블로그 > Grace kelly | 글쓴이 : Grace kelly [원문보기]
'정책 > 직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공하는 CEO들의 ‘감성 리더십’ (펌) (0) | 2006.02.09 |
---|---|
[스크랩] 선택과 집중의 경영전략(펌) (0) | 2006.02.09 |
[스크랩] 사람을 관리하는 황금율(펌) (0) | 2006.02.09 |
[스크랩] CEO의 성공 조건 A to G (0) | 2006.02.09 |
[스크랩] 좋은리더가 되기위한 필수 요건 5가지 (0) | 200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