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실업고 가면 창피? 부모부터 변해야” | |||||||||||||||||||
교육부 김종관 장학관 인터뷰…“실업고 ‘열등생 학교’라는 편견 버리자” | |||||||||||||||||||
미디어다음 / 권용주 프리랜서 기자 ![]() | |||||||||||||||||||
의견이야 분분하겠지만 대다수 부모의 마음은 아이의 의지를 바꾸고 싶은 게 아직 일반적인 생각이다. 현재 수준만 유지해도 이른바 전문직 고소득 직업군에 갈 수 있는데 굳이 실업계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것. 이처럼 실업계 고교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시각은 아직 싸늘하다. 정작 국가발전을 주도하는 제조업 종사자의 대부분이 실업고 출신이지만, 아직도 인문숭상(人文崇尙)의 잔재는 여전히 우리 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우등생의 실업계 고교 진학에는 여전히 걸림돌이 적지 않다. 그러나 아이의 미래를 위해선 부모의 욕심을 버려야 하고, 또 아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도록 놔두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교육이라는 주장을 강조하는 이가 있다. 바로 교육인적자원부 과학실업교육정책과에서 근무하는 김종관 장학관(55, 위 사진)이 주인공이다. 김 장학관은 지난 76년 성동기계공업고교 교사로 처음 부임한 뒤 줄곧 청소년 직업기술교육에 몸담아 왔다. 이후 2003년 아현산업정보학교 교장과 성동기계공고 교장을 거쳐 지금은 교육인적자원부 과학실업교육정책과에서 청소년의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해 뛰고 있는, 그야말로 국내 청소년 실업교육의 베테랑이다. 현재 국제 장애인 기능경기대회 심사위원과 학교발명협회 감사, 학교로봇교육진흥회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 김 장학관으로부터 청소년 시기의 미래 직업 선택과 이를 바라보는 사회적 편견에 대해 들어보았다. - 우리 사회에서 실업계 고교 진학에 대한 편견은
어느 정도인가. | |||||||||||||||||||
| |||||||||||||||||||
관련기사 | |||||||||||||||||||
|
기사에 대한 의견 | 100자 의견과 댓글, 이렇게 운영됩니다. | ||
|
'정책 > 직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F-15K, 주변국 일부도 작전영역에… (0) | 2006.01.04 |
---|---|
[스크랩] 건강 지혜 / 2 (0) | 2006.01.04 |
[스크랩] 신년첫주꽃꽂이 (0) | 2006.01.04 |
[스크랩] ‘도발과 충격’ 베네통 광고 실험 10년 (0) | 2005.11.19 |
[스크랩] F-15K, 주변국 일부도 작전영역에… (0) | 200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