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모음/학교장 훈화자료

6.25 한국전쟁 호국영령을 추모하며~

                                                                                                                        받은 자료

 

* 대한민국의 육해공군 본부가 위치한 작으마한 도시 계룡市 중앙도로에는 국방도시답게 6.25 한국전쟁 참가국 국기 16개가 일년 내내 계양되어 있다. 
그러나 사실은 틀렸다. 
1개국이 애써 외면되어져 빠진 것이다. 

전쟁기간 중 중요했던 국면마다 이 국가는 꼭 끼어 참가하고 있었다. 
200여 척으로 구성된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의 대선단의 50여 척의 상륙선(LST) 중 38척과 원산상륙작전 (행정상륙) 시 소해작전에 참가한 모든 JMS(Japan Mine Sweeper) 소해정 
그리고 어디 이뿐이랴? 
역사이래 최대 흥남철수작전에서 전투병력 10만 여명 인도주의적 피난민 
약 10여 만명 더해서 전투장비를 포함하면 덩케르크 34만 여명 철수작전 보다도 훨씬 규모가 컸던 흥남철수작전의 MSTS 상선단의 대부분의 승조원이 패전국(敗戰國) 일본해군과 선발된 일본국 선원들에 의해 참전 운영되어졌다. 

우리가 진정한 선진국의 높은 국민의식을 가지려면 이러한 감정의 품위부터 갖추어야 한다. 도움을 받은 일본에 대해 지나치게 비신사적인 행태는 오늘날에도 정부 당국에 의해 더욱 악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에도 일본 전역 8개 도시에는 한반도 유사시 사용되어질 미국 및 연합군(UN軍) 군수물자가 일본사람들에 의해 보관 관리되어지고 있다. 
 
625 한국전쟁에서 국난극복으로 기억해야 할 인물이 있다면 
* 맥아더 장군 
* 트루만 대통령 
* 덜레스 장관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이다.   
한국전쟁 당시 이승만은 75세 맥아더는 70세였다. 
조선왕조 500 년의 임금들 평균수명이 47세였던 점을 감안한다면 이들의 인간수명은 이미 한참 지났다. 

이승만과 맥아더의 인간적 인연은 한참 거슬러 올라간다.

맥아더가 1915년 경 갓 소령으로 진급했을 무렵 조선독립을 외치고 주장하고 다니던 꼬레아 청년을 돕기위해 미국의 유명인사 몇분이 도움을 주었다.   
후일 미국 대통령이 된 우드로 윌슨 프린스턴대학 총장 (이승만 은사)을 비롯하여 맥아더 소령의 장인도 그중의 한사람이었다. 장인의 소개로 이승만과 맥아더는 우연한 면식을 갖게되었다. 
그후 맥아더는 승승장구하여 1930년 육군대장으로 승진 참모총장을 5년간 수행했다. 
인연은 이것으로 끝이었을까?.

이승만은 1940년대 초반부터 중국의 상해임시정부를 국가단체로 인정받기 위하여 미국 국무부를 출입하기 시작했다. 인정시 군사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었다. 

당시에 동양인으로써 와싱톤대학 학사, 하바드대학 석사 그리고 프린스턴 대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엘리트는 이승만이 유일했다. 
오늘날도 그렇지만 장점도 많지만 미국처럼 인종차별 학벌차별 빈부차별이 보이지 않게 강력히 작용하는 역설적인 나라도 없을 것이다. 

하이 쏘사이어티 속에서는 결혼조차도 가려서 하고 있다.

이승만의 고급스럽고 품위있는 영어 실력은 (한성감옥에서 사형무기수로 5년간 복역할 때 그의 미국인 배재학당 은사 그리고 의사 간호사들이 차입해준 미국 감리교단의 유명책자와 국제정세 관련 논문문집을 아예 통채로 외웠다. 
놀라운 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영한사전을 집필하였다. 
이 기간 동안에 유명한 "독립정신"이라는 책도 집필하여 오늘날에도 읽혀지고 많은 구독자들이 그 사상과 완벽성에 놀라워하고 있다.

세종대왕의 장형인 양녕대군의 26대 손(孫)이요 출중한 어학실력 등 민영환 대신의 천거로 1904년 말에 사면되어 미국 데오도어 루즈벨트 대통령(26대) 밀사로 미국에 들어와 동부지역의 명문중에 명문 "아이비 리그" 3개 대학을 두루 섭렵하게 되었다.
이승만의 생애를 보면 하나에서 열까지 하늘의 섭리가 아니고는 도저히 당시의 상황으로는 이루어 낼 수없는 것들이었다.

배재학당 창립자의 도움과 YMCA 그리고 미국의 감리교재단에서는 아예 조선의 파송 목회자로 점찍어 두어 명문대학에 진학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미 이때부터 이승만의 마음 속에는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로 세계에 문호가 개방된 기독교 국가로 건설하고 싶은 간절한 소망을 갖게되었는 지도 모른다. 
열린 마음으로 그는 파란눈의 프란체스카라는 오스트리아 규수를 아내로 맞아 평생을 해후하기도 하였다.

미국의 국무성에는 대통령 프팽크린 루즈벨트 (32대)의 법률 자문역 하바드의 법률 천재로 불리우는 "히스"라는 사나이가 극동아시아 담당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이승만은 내심 기뻐했다. 
아이비 리그 하바드와 프린스턴대학의 동문 후배의 학벌이력을 내세워 접근한 것이다. 
그러나 "히스"의 반응은 냉담했다. 
알고보니 1950년대 매카시 선풍
(반 공산주의 운동)시에 캘리포니아 하원의원 리차드 닉슨(후일 대통령이됨)의 고발에 의해 공산사회주의자로 복역까지 한 인물로 밝혀졌다. 

 "히스"는 UN 창설시 기초 틀을 잡았을 정도로 실력이 워낙 출중하여 얄타회담을 비롯 각종 주요 연합군 수뇌 비밀회담 시 마다 소아마비 후유증으로 업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없었던 루즈벨트 대통령을 대신해 상당히 세밀한 잔무까지 처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제국의 식민지였던 대한민국의 앞날의 운명이 후일 밝혀지게 될 스타린의 일급 첩자였던 "히스"라는 스스로 사회주의에 심취된 사람에 의해 처리되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대서양 헌장에 이어서 카이로 선언 (장개석과 영부인 송미령 여사 통역담당)에서는 장개석 총통이 대한민국을 반드시 독립시켜야 한다고 특별히 강조해으며 미국의 명문대를 유학한 송미령 여사에 의해 통역되어지고 강조되었다. 
이때 상대 수뇌들은 루즈벨트, 윈스턴 처칠 그리고 철혈의 사나이 스타린이었다.  
후에 대한민국은 장개석과 송미령의 이런 은혜에 보답보다는 중공과 수교하면서 외교 단절이라는 배신을 안겨주었다.

"히스"의 영향이 한반도 통일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당시에 태평양전쟁 막바지에 있는 일본의 군사력을 만주로 유인하기 위해 막대한 군사자금과 군수물자 지원문제 부동항(不凍港) 확보를 위한 한반도 전체를 장악하는 문제 그리고 소련의 자존심이 걸린 일-러 전쟁 패배로 빼앗긴 북방도서의 재확보 등~ 미국으로에게는 별것이 아니었지만 일본과 한국에게는 매우 중요한 운명적 열쇄를 얄타회담 이전에 "히스"에 의해 소련외상 몰로토프에게 넘겨졌다. 
그야말로 스타린은 꽃놀이패를 잡았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1990년 소련이 붕괴 해체된 후 비밀문서가 공개됨으로 만천하에 밝혀졌다. 
미국 최대의 간첩 "히스"는 이미 나이가 아흔이 넘은 고령으로 다음 해에 숨을 거두었다.  

지금까지 연구해온 필자의 확신으로는 얄타회담 전후에 "히스"의 "몰로토프 문서"가 스타린에게 한반도 분단 6.25 한국전쟁 그리고 일본 북방도서 처리에 나름의 확신을 주었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이승만은 서둘러 귀국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비자가 발급되지 않았다. 
요로를 통해 알고보니 국무부 극동담당 "히스"가 길을 막아 선 것이다.

이승만은 1941년 6월에 유명한 태평양전쟁 예언서 "Japan Inside" 
(일본 내막기)를 진주만 기습 6개월 전에 발간하여 미국은 물론 유럽 영국 국방성에서도 이 책자를 구하려는 소동이 일어났었다. 
하루 아침에 유명인사가 되었다.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던 이승만은 "히스"의 요주의 감시 인물로 표적되었고 8.15광복 후 조국으로의 귀향은 철저하게 차단되어졌다. 
타고 갈 비행기 값도 없었다. 이때는 이미 아내 프란체스카 여사도 곁에 있었다.

맥아더에게 정중하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맥아더 연합군 총사령관이자 일본 전역을 관할하는 군정관으로 국무부에 즉각 해제를 풀고 비자 발급은 물론 그가 즐겨 애용하는 군용수송기 바탄(Battan)호를 내어 주었다. 
여기에 더해 앞으로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하게 될 이승만의 인물됨을 보아 1945년 9월 부터 남한지역 군정장관 임무를 수행중인 하지 장군을 서울에서 도쿄까지 불러내 맥아더와 함께 하네다 공항에서 영접하는 등 최고의 예우를 갗추어 주었다.

사람이 살아 가는 데 人脈이 얼마나 주요하게 작용하는지 그것이 한 국가의 운명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을 역사가 말해 주고있다.        
트루만 대통령과 덜레스 장관 이야기는 다음에~~~.

계룡산 산사에서~

'칼럼모음 > 학교장 훈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