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고시간 2021-04-22 06:00
김보경 기자기자 페이지
'인공지능 분야 현황과 과제'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될 인공지능(AI) 기술 분야에서 선진국보다 뒤쳐져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AI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 활용을 제약하는 법을 정비하고, 핵심 인력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발표한 '인공지능(AI) 분야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AI 개념 구조·세계시장 전망 [전경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AI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기계로 구현하는 과학기술로, 모바일 등을 통한 데이터 획득, 데이터 저장·가공, 학습을 통한 알고리즘 생성으로 최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경련에 따르면 전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18년 735억달러에서 2025년 8천985억달러로 연평균 43.0%의 성장이 기대된다. 이는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는 로봇산업 성장률(18.5%)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한국은 높은 교육 수준,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에도 미국, 중국 등 AI 선진국과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AI 논문 수는 세계 9위지만 1위인 중국의 10분의 1 수준에 머물렀고, 질적 지표인 논문 편당 인용 수도 91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특허 수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 100대 기업 중 국내 연구기관은 삼성과 현대자동차[005380], LG, 전자통신연구원 등 4곳에 불과했다. 미국의 11분의 1 수준이다.
또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석·박사 이상급 연구자 숫자도 미국의 3.9% 수준이었다.
논문 수와 논문 편당 인용수·AI 고급인력 수 [전경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런 연유로 한국의 AI 경쟁력은 미국의 80.9% 수준에 머물러 있고, 1.8년의 기술격차가 수년째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전경련은 한발 앞서 데이터 등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가 전략을 세워 AI 인재 양성에 힘쓰는 선진국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2009년부터 오픈 데이터 정책 등 빅데이터 활용을 추진했고 데이터 활용이 용이한 규제환경을 제공해 구글, 애플, 아마존 등 민간 중심으로 AI 기술 분야를 키우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5년부터 빅데이터 산업을 육성중이며 일본도 2017년 개인정보법을 개정해 개인 데이터의 사후 동의 철회 방식을 도입하는 등 우호적인 데이터 인프라 환경을 마련했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 데이터 3법을 개정했지만, 의료법 등 개별법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별도 동의가 필요하거나 이용이 제한돼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AI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IT 강국인 한국의 경쟁력은 주요국 대비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AI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업종별로 데이터 활용을 차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viv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정책 > 교육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계 학력쇼크]②"한글 해석본도 이해 못해"..학력붕괴 체감하는 교사들 (0) | 2021.06.22 |
---|---|
조국의 찬가 (0) | 2021.06.18 |
[팩트체크K] "노 타이에 콤비 의전에 어긋났다?"..사실은? (0) | 2021.06.17 |
중소기업 인력난,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이 답이다 (0) | 2021.06.14 |
한국 근무를 마치고 돌아간 유럽의 기자가 한국 친구에게 보내 온 글 (0) | 202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