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교회

개신교 청년 47% “10년후 교회 안 다닌다”

예수,코리아  21.02.20 08:30

출처 매일종교신문

 

목회데이터연구소 조사, 불만 1위 “지도자의 권위주의 태도” 

 

신앙생활을 통해 얻고자하는 것도 기존 세대들과는 달라   

 

현재 개신교 신앙을 가지고 있는 청년 절반이 '10년후 교회를 다니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21세기 교회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지난 1월 전국 19~39세 청년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 기독교 신앙을 가진 응답자의 40% '10년 후엔 신앙은 유지하지만 교회 나가지는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 아예 '기독교 신앙을 버릴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도 7%나 되며

- 전체 응답자의 47%가 교회를 다니지 않겠다고 답했다.

 

한편 지금 현재 교회에 꼬박꼬박 출석하고 있는 열성 신자 청년들 중 36% 10년 후 교회를 나가지 않거나 신앙을 포기할 것이라고 답해 충격을 주고 있다.

 개신교 청년들이 교회를 불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원인

  첫 번째는 '교회 지도자들의 권위 주의적 태도'(19%) 였다. 

  그 다음으로는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 교회의 고리타분 함'(15%),

                     '교인 간 형식적인 관계'(13%),

                     '교회 지도자들의 언행 불일치'(12%),

                     '불투명한 재정'(8%)순이었다.

  

개신교 청년들이 신앙 생활을 통해 얻고 자하는 것도 기존 세대들과는 달랐다.

  청년들은 신앙을 갖는 이유로 

  '구원/영생을 위해'(33%),

  '마음의 평안을 위해'(28%), 

  습관적으로(19%),

  '진리를 찾기 위해(5%), 

  호기심(3%),

  '기독교가 선한 영향력을 미쳐서'(3%)를 들었다. 

이는 구원이나 영생을 위해 신앙을 갖는 경향이 강한 기성세대와 사뭇 다른 결과다.

 

통계를 분석한 목회 데이터 연구소는 "코로나19 기간 중 청년들의 신앙적 지표들이 대체로 하락 했다"면서 "이 통계는 청년 사역이 위기에 처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기독 청년의 신앙 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들의 신앙적 특징은 무엇인지 정확한 진단과 현실 파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