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20-08-18
임용한 역사학자
1939년 독일군이 기갑부대를 앞세워 폴란드를 기습적으로 침공했다. 이때의 활약으로 독일군의 전술에 전격전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6일 후에 동쪽에서 소련군이 침공해 왔다. 독일과 소련은 폴란드를 분할했다. 폴란드는 영국 프랑스의 지원을 기대했지만, 양국은 지켜볼 뿐이었다. 독일은 자신감을 얻었고, 폴란드 침공은 사실상 제2차 세계대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 되었다.
1941년 독일은 소련을 침공했고, 폴란드는 완전히 독일의 영토가 되었다. 2차대전 동안 나라를 잃은 폴란드군은 연합군과 독일군 양쪽으로 징병되었다. 서방 측에서 활약한 자유 폴란드군은 전장에서 용맹을 떨쳤다.
노르망디 전역의 결정판이었던 팔레즈 협곡 전투, 최고의 혈전으로 꼽히는 이탈리아의 몬테카시노 전투, 아른험 공수작전에서 폴란드군은 영웅적인 활약을 했다. 종전 후에 그들에게 돌아온 보상은 배신이었다. 폴란드는 형식적으로는 독립을 했지만, 소련의 위성국이 되었다. 연합군 측에서 활약한 용사들은 강제로 붉은 군대에 인도되어, 살해되거나 수용소로 가거나 자살했다. 약소국에 정의는 없다. 이것이 국제 관계의 진실이다.
구소련의 붕괴로 폴란드는 진정한 독립을 얻었다. 현재 폴란드는 나토 회원국이다. 하지만 폴란드는 아직도 혼란스럽다. 강인한 민족정신, 훌륭한 국토, 산업능력을 갖추었지만 과거의 고통이 남긴 상처가 아물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책 > 교육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은 일본, 다른 일본] 일본의 한 달은 한국의 일주일.. '빨리빨리'는 '느림'보다 나은가 (0) | 2020.09.30 |
---|---|
예배자 건드리는 것은 하나님의 눈 건드리는 것 (0) | 2020.08.31 |
塵人 조은산이 시무7조를 주청하는 상소문을 올리니 삼가 굽어 살펴주시옵소서 (0) | 2020.08.21 |
8월 29일 경술 국치일 (0) | 2020.08.17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상생 전략, 교육 국제협력!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