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성경공부

[스크랩] 동방박사의 경배와 헤롯의 예수살해 음모

동방박사의 경배와 헤롯의 예수살해 음모

(마 2:1-12)


메시야 예수에 대한 세상 권세의 반응과 예수를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주권

마태는 본문을 통해 악한 왕 헤롯과 대조되는 유대인의 왕이며 모든 민족의 메시야 되시는 예수를 강조하고 있다.

1. 동방 박사들의 예루살렘 방문(1-3절)

이방인 박사들의 출현은 예수의 족보(1:1-17)에 이방 여인들이 언급된 것처럼, 예수를 하나님으로 
인정하고 예배하는 무리들 속에 이방 출신의 제자들이 포함될 것임을 암시한다. 마태는 이러한 점을 처녀 수태 고지에서(1:23)와 같은 놀람의 의미를 내포한 '보라'(idovu, 이두, 1a절)라는 단어로 강조한다.

1) 예수께서 베들레헴에서 탄생하심
(Tou' de;  jIhsou' gennhqevnto"투 데 예수 겐네덴토스, 1a절)
예수의 탄생이 독립속격 구문으로 기록된다. 이는 예수의 탄생이 주체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본 절 이하에 언급되는 전체 내용의 서론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F.F.Bruce). 정관사 투(tou')는 '예수'의 이름이 이미 언급되었음을 가리키며(1:21;25), 예수가 지닌 '구원'의 의미를 다시 상기시켜 준다. 한편 헤롯 왕 때에는 B.C.4년에 사망한 헤롯대왕이 통치하던 때에 예수께서 탄생하셨음을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유대인의 왕'(2절)이신 예수와 극명하게 대조되는 사악한 왕의 지배시에 탄생하여 어린 시절부터 고난받으실 것을 암시한다.

2) 동방 박사들이 예루살렘을 방문함
(mavgoi ei[domen ga;r aujtou' to;n ajstevra ejn th'/ ajnatolh마고이 에이도멘 가르 아우투 톤 아스테라 엔 테 아나톨레, 1b,2절)
마고이(mavgoi박사들)는 70인역(LXX)의 단2:2,10에서 유래하는 단어로 현자 또는 제사장을 의미하며, 당시 메대, 바사, 바벨론 지방에 널리 퍼져 있었던 천문학과 점성술 분야의 전문가들을 가리킨다(HDCG Ⅱ, 97-101). 엔 테 아나톨레(en th'/ ajnatolh'동방에서)는 본래 '그 별이 떠오를 때'를 의미한다. 박사들은 동방에 있는 별을 본 것이 아니라 '그의 별'이 떠오르는 것을 보았다(Moffatt). 정관사 톤(tovn)과 더불어 소유의 의미를 갖는 아우투 톤 아스테라(aujtou' tovn ajsthvra그의 별)는 '예수의 별'을 가리키며 "한 별이 야곱에게서 나오며"(민24:17)라는 발람의 신탁(神託)과 부합되는 메시야의 별이었다.

3) 예루살렘의 소동
(pa'sa JIerosovluma met! aujtou' 파사 예로솔뤼마 메트 아우트, 3절)
메트 아우트(metj aujtou')는 '그와 함께' 즉 헤롯과 함께를 뜻한다. 이는 정적(政敵)을 두려워하는 헤롯뿐만 아니라, 예루살렘 전체가 새로운 왕의 출현으로 혼란에 빠지게 되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파사(pa'sa온)는 유대교의 본산인 예루살렘 전체가 예수를 대적하는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2. 동방 박사들을 기만한 헤롯의 궤계(4-8절)

헤롯은 다윗 가문의 왕도, 유대인도 아닌 이두매인이었다. 그는 자신의 불법적 왕권을 지키려고 '유대인의 왕'이신 예수를 경배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온 박사들을 반기는 것처럼 기만하였다.

1) 동방 박사들의 내방에 대한 헤롯의 반응
(sunagagw;n pavnta" tou;" ajrcierei'" kai; grammatei'" tou' laou' 쉬나가곤 판타스 투스 아르키에레이스 카이 그람마테이스 투 라우, 4a절)
헤롯은 메시야의 출생지를 묻고자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서기관들'을 소집하였다. 사두개파에 속한 대제사장과 장로들과 더불어 유대 최고 법정인 산헤드린(Sanhedrin)을 형성하였다. 마태는 헤롯이 소집한 이들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이 헤롯과 마찬가지로 불신앙적이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바리새파 출신인 서기관들은 '회당'을 뜻하는 쉬나고게(sunagwghv)에서 유래한 부정과거 분사 '쉬나가곤'(sunagagwvn모아)을 써서 유대교 지도자들이 과거에 예수를 배척하였던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2) 헤롯이 예수 탄생 장소를 물음
(ejpunqavneto par! aujtw'n pou' oJ Cristo;" genna'tai 에퓐다네토 파르 아우톤 푸 호 크리스토스 겐나타이, 4b절)
에퓐다네토(ejpunqavneto)는 미완료 시제로 헤롯의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에게 집요하게 메시야의 출생지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마태는 미5:2의 '작을지라도'(twOyh}li ry[ix차이르 르흐요트)를 '가장 작지 아니 하도다'(oujsamw'" !elacivsth우다모스 엘라키스테)로 바꿔 인용하였다(6a절). 마태에게 있어서 베들레헴(Bhqlev- eJm떡의 집)은 미가 예언 당시의 작은 마을이 아니라, 다윗 가문에 메시야가 탄생하신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갖는 마을이었기 때문이다.

3) 헤롯이 예수 탄생 시기를 물음
(lavqra/ kalevsa" tou;" mavgou" hjkrivbwsen 라드라 칼레사스 투스 마구스 에크리보센, 7,8절)
라드라(lavqra은밀히)와 '에크리보센'(hjkrivbwsen정확히 탐색하다)은 메시야의 출생지와 출생 시기를 확인하는 헤롯이 예수 살해 음모를 숨기고 박사들에게 속임수를 쓰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렇게 거짓된 모습을 간교하게 감추는 악한 자의 행위는 사단의 방법이기도 하다.

3. 동방 박사들의 경배(9-12절)

아기 예수께 대한 이방인 박사들의 경배는 유대인들에게는 배척을 받으나 이방인에게는 받아들여지는 메시야의 운명의 전조이다(F.F.Bruce). 

1) 동방 박사들이 아기 예수를 찾아감
(ijdou; oJ ajsth;r ■ proh'gen aujtou;" 이두 호아스테르…프로에겐 아우투스, 9,10절)
프로에겐(proh'gen앞서 인도하여)은 미완료시제로서 별이 박사들보다 앞서서 계속 진행하였음을 의미한다. 그 별(2절)은 아기 예수가 계신 베들레헴의 사관(눅2:7)으로 박사들을 인도하였다. 박사들은 별이 아기 예수가 계신 곳위에 머물자 커다란 기쁨과 감격을 감출 수 없었다(10절). 이는 구원을 베푸시는 메시야를 발견한 자가 표출하는 반응이다. 빛과 구원이신 주님을 찾는 자는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과 화평 안에 머물게 된다(빌4:6,7절).

2) 동방 박사들이 예수께 경배하고 예물을 드림
(ajnoivxante" tou;" qhsaurou;" aujtw'n아노이 크산테스 투스 데사우루스 아우톤, 11절)
데사우루스(qhsaurouv"보배함)는 고대 문필가들 사이에서 통용된 작은 상자, 보물 상자를 말한다(A.T.Robertson). 박사들이 작은 상자에 담아 가져온 예물, 곧 황금과 유향과 몰약은 각각 예수의 신성과 왕권과 죽으심을 상징한다(72:10,11,15; 사60:2,3,6). 박사들이 이러한 예물을 예수께 드림은 곧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거해주며 진정한 하나님께 경배 드리는 자의 참된 자세를 보여준다.

3) 동방 박사들이 하나님의 인도로 귀국함
(crhmatisqevnte" kat! o[nar 크레마티스덴테스 카트 오나르, 12절)
크레마티스덴테스(Crhmatisqevnte")는 본래 '거래하다'는 의미이나 70인역(LXX)과 신약에서 '신탁하다, 가르치다'의 뜻으로 사용되었다(Deissmann). 박사들이 하나님의 직접 계시인 꿈에 신탁을 받아 헤롯의 박해를 벗어나 무사히 귀국할 수 있었던(McNeile) 것처럼 하나님을 예배하는 백성은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를 받는다.


.koabbey.com/bib_canon/7111

출처 : 예수 코리아
글쓴이 : 예수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