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배에 담긴 기독론적 의미
교회가 무엇이고, 왜 신자들이 교회에 가야 하는지 모른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신자들이 교회로 모이는 첫 번째 목적은 당연히 하나님께 예배하기 위함이다.
예배에는 최소한 몇 가지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는 기도, 찬송, 말씀봉독, 성례, 설교, 연보, 축도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것 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다.
...
그런데 예배를 드리고 난 후 오늘은 교회가 무엇을 기도했고, 무엇을 찬송했고, 성찬은 왜 했는지도 모르고,
설교의 내용도 기억하지 못하며, 연보는 의례히 하는 것으로 여기하고, 축도는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면
과연 그것이 온전한 예배였는지 심각하게 돌아보아야 한다.
참으로 성도들이 이 세상에서 특별한 은혜를 받았다면
그것은 하나님 앞에 나아가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하나님께 예배하는 그 자체가 구원받은 신자로서 누리는 놀라운 은혜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기도, 찬송, 말씀봉독, 성례, 말씀선포, 연보, 축도 등.
그 모든 예배의 순서들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고 있는 성도들이.
매주일 하나님께 나아가 감사드려야 하는 이유가 되며,
동시에 그들이 이 세상에서 은혜를 누리고 있다는 증표가 된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이 모든 예배의 요소들을 통해.
신자들을 날마다 장성케 하는 은혜를 기쁘게 베푸신다.
이런 점에서 말씀과 성찬과 기도를 개혁주의자들은 은혜의 방도라고 정의했으며,
이 은혜의 방도는 교회의 예배에서 그 절정을 이룬다.
이 사실은 예배와 관련한 요소들 중 어느 것 하나라도 교회론적 이해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따라서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이 놀라운 은택을
오로지 중보자이신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누릴 수 있음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이 땅에서 교회로 부름은 받은 신자들이
오로지 중보자이신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온전한 예배를 수행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이로써 예배의 모든 순서는 기독론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십자가에 친히 못 박히셨던 그리스도께서 그리하셨던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께 그렇게 예배를 드려야 한다.
따라서 교회의 예배에 참여하는 신자들은
예배의 모든 순서 하나하나에 집중해야 하며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예배에 참석한 모든 신자들이 그리해야 하며
목사와 장로와 집사를 비롯해 어느 누구도 여기에서 예외일 수 없다.
송영찬 목사(개혁신보사 국장)
'교육자료 > 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고 찬양 (0) | 2018.12.10 |
---|---|
[스크랩] 최고 찬양 (0) | 2018.12.10 |
[스크랩] 외국말 방언은 어떻게 신비한 하늘의 언어로 변하는가? (0) | 2018.12.10 |
[스크랩] ▒ 금주의 설교 자료 - 10편 ▒ [302] (0) | 2018.12.07 |
[스크랩] 이스라엘 메시아닉 쥬의 급성장 - 3만 성도, 3백 교회 (0) |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