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www.nhrd.net/webzine/149/KRIVETIssueBrief-149.html
- 한국의 직업계 고등학교는 일본 독일에 비해 미달 학생 비율이 높음
- 직업계 고등학교의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2015년 기준으로 15%로,
일본(4%)과 독일(2%)에 비해 확연히 높음
한편, 일반계 고등학생은 독일 5%, 한국 4%, 일본 3%로서 비교 국가들 간에 큰 차이가 없음
- 직업계 고등학교의 과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도 2015년 기준으로 한국은 9%이지만
일본과 독일은 2%에 그침
- 2009년도에 비하여 2015년에 한국의 직업고등학교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
수학 : 5% - 15%, 과학 : 3% - 9%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감소하거나 유지됨
- 주당 수업시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학 수업시간이 한국의 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2009년 202분에서 2015년 141분으로 61분 감소한 반면,
독일은 수학 수업시간이 167분에서 182분으로 15분 증가 함
.. 이는 기업의 직무 내용을 중시하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강조하고 재학 중 실무경험과 취업을
강조하는 흐름 속에서 학생들이 학업능력을 덜 중요시 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연구진은 진단하고 있음
.. 해당 교과 수업시간 감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2012년 이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는 국어 수학 과학의 학업성취수준 평가에서 제외하여
국가 모니텅링 체계도 없는 상황임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개인과 한국사회의 미래 경쟁력을 위해서는 현장기반 실무교육 뿐만 아니라
보통교과의 충실한 학습과 기초학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연구진은 강조하고 있음
'정책 > 직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향나무 소나무 분재 (0) | 2018.06.22 |
---|---|
[스크랩] 멜론이 한 통에 2800만원에 (0) | 2018.06.18 |
[스크랩] 陶磁器 盆栽 感想 (0) | 2018.06.16 |
[스크랩] 지구상의 달인중에 최상 달인 (0) | 2018.06.14 |
[스크랩] 아름다운 꽃 근상분재 (0) | 2018.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