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교육정책

존경하도록 가르치다

?°° " 존경하도록 가르치다 " °°


   어느 초등학생 소녀가 학교에 가자마자 담임선생님에게
길에서 주워 온 야생화를 내밀며
이 꽃 이름이 무엇인지 질문했다.


선생님은 꽃을 한참 보시더니 말했다. 

"미안해서 어떡하지 선생님도 잘 모르겠는데 내일 알아보고 알려 줄게."


선생님의 말에 소녀는 깜짝 놀랐다.

선생님은 세상에 모르는 게 없을 거라  믿었기 때문이다.


집으로 돌아 온 소녀는 아빠에게 말했다.

"아빠 ! 오늘 학교 가는 길에 주운 꽃인데 이 꽃 이름이 뭐예요 ?
우리 학교 담임선생님도 모른다고 해서 놀랐어요."

그런데 소녀는 오늘 두 번이나 깜짝 놀라고 말았다.

믿었던 아빠도 꽃 이름을 모른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소녀의 아빠는 식물학 전공으로 대학에서 강의하기 때문이다.


다음 날 학교에 간 소녀를 담임 선생님이 불렀다.

그리고는 어제 질문한 꽃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소녀는 아빠도 모르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고 알려 준 선생님이 역시 대단하다고 감탄했다.


그런데 사실은 어젯밤 소녀의 아빠가 선생님에게 전화하여
그 꽃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 주었던 것이다.

아빠는 그 꽃이 무엇인지 당연히 알고 있었지만
딸이 어린 마음에 선생님께 실망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던 것이다.


학교 교육과 가정 교육은 100 년의 약속이다.

100 년의 미래를 위해 100 년의 시간을 준비하는 길고 긴 과정이 바로 교육이기 때문이다.

가정 교육과 학교 교육이 잘 연계되고 조화를 이루어
가정에서는 스승을 존경하도록 가르치고 ,

학교에서는 부모님을 공경하도록 가르치면
이상적인 인성교육을 할 수 있다.


" 교육은 그대의 머릿속에 씨앗을 심어주는 것이 아니라, 
그대의 씨앗들이 자라나게 해 준다 "

 -- 칼릴 지브란 --
 레바논계 미국인 (1883~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