窮則通(궁칙통) : 세상의 모든 이치는 궁하면 통함
刻骨難忘(각골난망) : 입은 은혜에대한 고마움이 뼈에깊이 사무치어 결코잊히지않게 함
竭力盡忠(갈력진충) : 힘과 능력을 다함開卷有益(개권유익) : 책을 열면 이로움이 있음
居利思義(거리사의) : 이득을 보고 옳음을 생각함
居安思危(거안사위) : 편안할 때 위태로움을 생각함
健康家族(건강가족) : 몸과 마음이 건강한 가족
格物致知(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잘 연구하여 아는 것을 확실하게 함
見利思義(견리사의) : 이익을 보면 의리를 생각함
敬天愛人(경천애인) :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함
苦盡甘來(고진감래) : 고생 끝에 낙이 옴
公平無私(공평무사) :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음
過猶不及(과유불급) :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 중용(中庸)이 중함 - 論語
觀物察己(관물찰기) : 천지의 만물을 보고 자기자신을 살핌
寬仁厚德(관인후덕) : 너그럽고 어질며 온후하고 덕망있게
君子務本(군자무본) : 기초를 튼튼히 닦음
克己復禮(극기복례) : 자기의 욕망을 버리고 일을 공정하게 처리하면 복이 옴
勤爲至寶(근위지보) : 부지런함은 지극히 보배가 됨
勤者必成(근자필성) : 부지런한 자는 반드시 성공함
金石之交(금석지교) : 쇠나 돌과 같이 항상 바뀜없이 굳건한 친구 사이
金玉滿堂(금옥만당) : 금옥관자가 방안에 가득하다는 뜻. 좋은일이 항상집에 있게 함
氣山深海(기산심해) : 기운은 산처럼, 마음은 바다처럼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 집안이 평안하고 가족들이화목하면 모든일이 쉽게극복될 수있음
經書滿腹中(경서만복중) : 넓은 학문을 가진 사람이 됨
過則勿憚改(과칙물탄개) : 자신의 허물이 있으면 주저없이 고침
多言數窮(다언수궁) : 말을 조심함
多情佛心(다정불심) : 정이 많고 자비스러운 마음
膽大心小(담대심소) : 도량은 크게 생각은 세밀하게
大器晩成(대기만성) : 남달리 뛰어난 큰 인물은 보통 사람보다 늦게 대성한다는 말 - 老子
大道無門(대도무문) : 높고 넓은 뜻을 품고 만인이 따를 수 있는 옳은 길을 택함
德無常師(덕무상사) : 덕을 닦음에 정해진 스승은 없음
德必有隣(덕필유린) : 덕은 반드시 이웃이 있음
篤學力行(독학역행) : 학문에 정진함
登高自卑(등고자비) : 자신의 위치가 높아질수록 몸가짐을 겸손하게 함
多欲則傷生(다욕칙상생) : 욕심을 부리지 않음
萬事亨通(만사형통) : 모든 일이 뜻한 바대로 잘 이루어짐
明鏡止水(명경지수) : 맑고 깨끗한 마음
名實相符(명실상부) :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맞음
無念無想(무념무상) : 무아의 경지에 이르러 일체의 상념이 없음
無信不立(무신불입) : 믿음을 가짐
務實力行(무실역행) : 거짓없이 진실에 힘쓰고 옳은 일에 힘써 실행함
無言實踐(무언실천) : 모든 일은 말없이 실천함
無忍不勝(무인불승) : 인내하는 자만이 승리할 수 있음
無爲自然(무위자연) : 있는 그대로의 자연 - 老子
無汗不成(무한불성) : 땀을 흘리지 않으면 이루지 못함
萬古爲世程(만고위세정) : 후손에게 모범적인 사람이 됨
博文約禮(박문약례) : 널리 배우고 간추려 실천함
百練千摩(백련천마) : 백번 연습하고 천번 닦음
百事大吉(백사대길) :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百忍萬和(백인만화) : 백번 참으면 만사가 화목
百忍三思(백인삼사) : 백번을 참고 세 번을 생각함
報本之心(보본지심) : 근본에 보답하는 마음가짐
父慈子孝(부자자효) : 어버이는 인자하고 자식은 효도함
不愧屋漏(불괴옥루) : 어떠한 곳에 있어도 행동을 신중히 함
不言實行(불언실행) : 착한 일은 말 보다 행함을 우선함
不撓不屈(불요불굴) : 어떠한 일에도 굽히지 않음
不遺餘力(불유여력) : 최선을 다함
鵬蒙蟻生(붕몽의생) : 꿈은 원대하게 생활은 부지런하게
氷淸玉潤(빙청옥윤) : 인품이 맑고 아름다운 사람
百忍克百難(백인극백난) : 백번 참는 것이 백가지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
卑己而尊人(비기이존인) :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임
思無邪(사무사) : 사사로움이 없이 공정한 생각을 함
誠敬信(성경신) : 성실 공경 믿음
誠敬直(성경직) : 성실 공경 정직
歲寒操(세한조) : 권세와 이득에 치우치지 않음
信望愛(신망애) : 믿음 소망 사랑
事必歸正(사필귀정) : 일은 반드시 바름으로 돌아감
山高水長(산고수장) : 군자의 덕은 산처럼 높고 물처럼 길음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기 자신을 희생하여 옳은 일을 함
三思一言(삼사일언) : 세 번 생각한 후 말함
三省五辛(삼성오신) : 매일 세 번 내 자신의 몸가짐을 반성함
相待如賓(상대여빈) : 부부는 서로 존중하고 위하고 살아야 함
上善若水(상선약수) : 최고의 선은 물과 같이 막힘이 없음 - 道德經
尙賢貴德(상현귀덕) : 어진 사람을 높이 여기고 도덕을 중히 여김
善德公理(선덕공이) : 착함과 덕은 같음
善意行樂(선의행락) : 착한 일 하기를 즐거워함
先人後己(선인후기) : 남을 먼저 생각하고 나를 뒤에 생각하는 겸손한 덕
誠勤是寶(성근시보) : 성실과 근면이 보배
成實在勤(성실재근) : 성공은 부지런함에 있음
誠愛敬信(성애경신) : 성실과 사랑, 공경과 믿음있는 생활
修己治人(수기치인) : 자기를 닦고 남을 다스림
修德立義(수덕입의) : 덕을 닦고 항상 의를 세움
修德砥行(수덕지행) : 바른 마음으로 행실을 닦음
手不釋卷(수불석권) :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음. 즉, 늘 책을 가까이 하며 읽음
壽山福海(수산복해) : 산처럼 오래살며 바다처럼 복을 많이 받음
修身齊家(수신제가) : 자기 자신을 잘 다스려야 가정도 편안해짐
水滴石穿(수적석천) : 물방울이 돌을 뚫듯이 계속 노력하면 이루어짐
熟廬斷行(숙려단행) : 무슨 일이든 하기 전에 충분히 생각하고 결단을내린 뒤에 실행함
是非之心(시비지심) : 선악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을 가짐
施人布德(시인포덕) : 사랑과 덕을 베풀고 사는 삶
始終一貫(시종일관) :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은 방0침이나 태도로 나감
信心直行(신심직행) : 마음에 옳다는 믿음이 있으면 곧바로 행동함
信愛忍和(신애인화) : 믿고 사랑하며 인내하며 화합함
信義守禮(신의수례) : 신의로써 예를 지킴
神淸智明(신청지명) : 정신이 맑으면 지혜도 맑음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함
失信不立(실신부립) : 신용을 지킴
心德勝命(심덕승명) : 심덕을 닦으면 운명도 개척할 수 있음
深思敏行(심사민행) : 깊이 생각하고 빠르게 행동함
心身修鍊(심신수련) : 몸과 마음을 닦고 익힘
深造自得(심조자득) : 학문을 깊이 닦으면 마음에 깨달음을 얻음
心淸事達(심청사달) : 마음이 밝아야 모든 일이 이루어짐
歲月不待人(세월부대인) : 세월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음
笑門萬福來(소문만복래) : 웃으면 만가지 복이 들어옴
安居危思(안거위사) : 편안하고 무사한 때일수록 어려운일이닥칠때를 생각하여미리 대비함
安不忘危(안불망위) : 편안한 때에도 마음을 놓지 않고 늘 스스로 경계함
安貧樂道(안빈낙도) : 가난한 생활 가운데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김
愛人以德(애인이덕) : 사람을 덕으로써 사랑함
愛之實踐(애지실천) : 사랑의 실천
養德遠害(양덕원해) : 덕을 쌓고 해를 경계함
量力而動(양력이동) : 자기 힘에 맞게 일을 하면 실패가 없음
言行一致(언행일치) : 말과 행동이 서로 어긋남 없이 일치함
易地思之(역지사지) : 다른 사람의 입장으로 바꾸어 놓고 생각해봄
念成執一(염성집일) : 한가지 일에 집중하여 생각하면 성공함
吾唯知足(오유지족) : 자신에 대해 만족하고 남과 비교하지 않음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것을 연구하여 거기서 새로운 지식이나 도리를 찾아냄
溫柔敦厚(온유돈후) : 따뜻하고 부드럽고 알뜰하고 착함
外柔內剛(외유내강) :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하게 보이나 마음속은 단단하고 굳셈
欲尊先謙(욕존선겸) : 남에게 존경을 받고자 하면 자신부터 먼저 겸손하여야 함
勇猛精進(용맹정진) : 용맹하게 정진함
愚公移山(우공이산) : 쉬지않고 열심히 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
元亨利貞(원형이정) :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곧게 - 周易
有備無患(유비무환) : 준비가 있으면 근심할 것이 없음 - 書經
有始有終(유시유종) :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무리 함
柔和善順(유화선순) : 부드럽고 평화롭고 착하고 순수한 마음
殷鑑不遠(은감불원) : 남의 실패를 보고 자신의 경계함
意志堅固(의지견고) : 뜻이 굳셈
以德服人(이덕복인) : 덕으로써 사람을 복종시킴
因果應報(인과응보) :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서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됨
仁德萬里(인덕만리) : 인과 덕은 만리를 비춤
仁道善行(인도선행) : 어진 도리로 착하게 행함
仁愛恭儉(인애공검) : 인자하고 우애하고 겸손하고 검약함
仁義禮智(인의예지) : 어질고 의롭고 예의바르고 지혜로움
人一己百(인일기백) : 남들이 한번 할 때 자기는 백번을 함
仁者無憂(인자무우) : 어진 사람에게는 근심이 없음
仁者無敵(인자무적) :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음
忍中有和(인중유화) : 인내속에 화목이 있음
仁智明達(인지명달) : 인과 지를 분명히 통달함
忍之爲德(인지위덕) : 참는 것이 덕이 됨
因敗成勝(인패성승) :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一家和親(일가화친) : 온 집안이 화목하고 친함
一刻千金(일각천금) : 매우 짧은 시간도 천금과 같이 귀중함
一諾千金(일낙천금) : 한 번 승낙한 일은 천금같이 귀중함
一念通天(일념통천) : 한결같은 마음으로 노력하면 하늘도 감동시켜 무슨일이든 이룰 수 있음
一絲不亂(일사불란) : 질서나 체계 따위가 정연하여 조금도흐트러진 데나 어지러운 데가 없음
一心萬能(일심만능) : 무슨 일이든 한마음이 되어 하게 되면 안 될 일이 없음
一心正念(일심정념) : 한마음 바른 생각
一言千金(일언천금) : 한마디의 말이 천금
一日一善(일일일선) : 하루에 한가지 선행
一之爲甚(일지위심) : 한번 저지른 실수는 두 번하지 않음
日進月步(일진월보) : 날로 달로 끊임없이 진보함
日就月將(일취월장) : 날로 달로 자라거나 진보함
立身揚名(입신양명) : 몸을 세워서 이름을 날림
立志爲先(입지위선) : 뜻을 세우는 것을 우선으로 삼음
志在千里(입재천리) : 뜻을 원대하게 둠
業精勤荒嬉(업정근황희) : 학문에 힘씀
爲善無近名(위선무근명) : 선생을 베풀더라도 소문이 나지 않게 함
仁義禮智信(인의예지신) : 어질고 의롭고 예의바르고 지혜롭고 믿음이 있는 사람
日新又日新(일신우일신) : 날마다 새로워짐
一日難再晨(일일난재신) : 지난 시간은 다시 오지 않음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냄
眞善美(진선미) : 인간이 이상으로 삼는 참다움, 착함, 아름다움을 일컫는 말
自彊不息(자강불식) :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아니함. 즉, 열심히 노력함
自利利他(자리이타) : 남도 이롭고 나도 이롭게 함
慈悲無敵(자비무적) : 자비로우면 적이 없음
自勝自强(자승자강) :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임
自我反省(자아반성) : 나 자신의 일이 바른지 그른지 항상 반성함
積德爲福(적덕위복) : 덕을 쌓으면 복이됨
積善成德(적선성덕) : 선을 쌓아 덕을 이룸
積小成大(적소성대) : 작은 것도 많이 쌓이면 큰 것을 이룸
積土成山(적토성산) : 티끌모아 태산
轉敗爲功(전패위공) : 실패가 바뀌어 오히려 공이 됨
切磋琢磨(절차탁마) : 학문이나 덕행 등을 배우고 닦음 - 詩經, 論語
正道善行(정도선행) : 바르고 착함을 행함
正道正行(정도정행) : 올바른 도리 올바른 행실
正善如流(정선여류) : 바르고 착함은 물이 흐르는 것과 같음
正心誠意(정심성의) : 마음을 바르게 하고 뜻을 참되게 함
正心修德(정심수덕) : 마음을 바르게 하고 덕을 닦음
朝過夕改(조과석개) : 잘못이 있으면 고치는 것이 바른 것임
尊聞行知(존문행지) : 폭넓게 듣고 실천하는 것을 귀중하게 앎
晝耕夜讀(주경야독)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한다. ⇒ 틈틈이 열심히 공부한다는 의미
知德能努(지덕능노) : 옳게 알고 행실을 바르게 하고 모든 일에 힘씀
知道不惑(지도불혹) :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헤매지 아니함
至誠感天(지성감천) : 정성을 다하면 하늘도 감동함
知足不辱(지족불욕) : 만족함을 알고, 욕심없이 삼
知足常樂(지족상락) : 자기자신에 만족하면 항상 즐거움
知止不殆(지지불태) : 분수를 지킴
知彼知己(지피지기) :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知行合一(지행합일) : 참지식은 반드시 실행이 따라야 한다는 설- 손자병법
陽明學 進德修業(진덕수업) : 선행 선덕으로 업이 이루어지는 것
眞如孝行(진여효행) : 진실한 마음으로 부모님께 효도함
塵積爲山(진적위산) : 티끌이 모아 태산
忠義順(충의순) : 참되고 의롭고 순하게
處染常靜(처염상정) : 더러운 곳에 있어도 항상 깨끗함
天長地久(천장지구) : 하늘과 땅은 영원함. [흔히 장수하기를 빌 때 하는 말]
淸福相傳(청복상전) : 청렴하고 결백한 삶을 행복한 교훈으로 자손에게 전함
淸貧正直(청빈정직) : 성정이 청렴하여 가난해도 마음을 바르고 곧게 가짐
淸廉潔白(청렴결백) :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재물 욕심이 없음
淸心正行(청심정행) : 맑은 마음 바른 행동
靑雲之志(청운지지) : 높은 이상
淸正廉潔(청정염결) : 맑고 바르고 청렴 결백함
初志不變(초지불변) : 처음의 계획한 뜻이 끝까지 바뀌지 않음
初志一貫(초지일관) : 처음에 세운 뜻을 이루려고 끝까지 밀고 나감
忠誠孝道(충성효도) :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함
忠孝傳家(충효전가) : 충성과 효도를 가풍으로 전함
忠孝悌信(충효제신) : 충성 효도 우애 신의
七顚八起(칠전팔기) : 몇번 실패해도 굽히지 않고 일어서서 분투함을 이르는 말
初心則至心(초심즉지심) : 처음 마음이 곧 지극한 마음
他山之石(타산지석) :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도 자기의 지덕(智德)을 닦는데
도움이 됨 - 詩經
抱負(포부) : 앞날에 대한 희망, 계획 등을 마음속에 안고 품음
賢德(현덕) : 어진 덕행 和睦(화목) : 뜻이 맞고 정다움
孝道(효도) : 어버이를 잘 섬김
希望(희망) : 이루거나 얻고자 기대하고 바람. 기망(冀望). 소망. 희원(希願).
學如不及(학여불급) : 학문은 완성이 없으니 더욱 힘써야 함 - 論語
學原於思(학원어사) : 학문은 생각하고 궁리하는 것이 근원임
行不無得(행불무득) : 행하지 아니하면 얻는 것이 없음
香遠益淸(향원익청) : 향기는 멀리갈수록 맑음을 더함
向學立志(향학입지) : 학문에 뜻을 세움
螢雪之功(형설지공) : 반딧불과 눈을 통해 열심히 공부하여 성공함
浩然之氣(호연지기) :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정기 - 孟子
和氣滿堂(화기만당) : 집안에 온화함이 가득함
和信家樂(화신가락) : 화목하고 믿음이 있으면 집안이 즐거음
弘益人間(홍익인간) : 사람을 널리 돕자
孝悌忠信(효제충신) : 효도 우애 충성 신의
孝行正禮(효행정례) : 부모를 섬기듯 다른 사람에게 하면 모든 예절이 바름
孝百行之源(효백행지원) : 효는 백가지 행실의 근원임
孝子卽忠臣(효자즉충신) : 부모에게 효도하는 사람은 나라에도 충성함
'경영관리 > 대화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리 피해도 저리 피해도 (0) | 2018.01.31 |
---|---|
[스크랩] 새해엔 이렇게 살게 하소서 (0) | 2018.01.01 |
우리나라의 유명인사 50인의 좌우명 (0) | 2017.12.27 |
웃음에 관한 명언 (0) | 2017.10.02 |
[스크랩] 비상금 숨기는 곳과 방법 (0) | 201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