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기타/아펜젤라 합창단

[스크랩] 한서 남궁억 기념관 자료

남궁억 어록  

 

건국훈장 국민장 (1977년)

 

 건국훈장 국민장

 

가정교육(복사본)

 

가정교육 

 

남궁억 저 가정교육  

 

조선이야기 5권

 

조선이야기 5권

 

1929년 집필한 전5권 조선이야기  

 

1929년 집필한 전5권 조선이야기 복사본

 

1929년 집필한 전5권 조선이야기 복사본

 

조선이야기 5권, 동사략

 

동사략

 

남궁억 저 역사책 동사략 

 

모곡리와 남궁억

 

모곡학교 만세운동

 

무궁화대전 6권

 

무궁화대전 6권

 

교육월보

 

가정교육 복사본 (1914년)

 

신편 언문체법 (1914년)

 

무궁화운동 성지 전경

 

무궁화운동 성지 전경 

 

무궁화운동 성지 모형도, 예배당, 기숙사, 정구장, 종각, 묘�장 (좌), 학교 교사동(우) 

 

무궁화운동 성지 모형도

 

모곡학교

 

모곡학교 수업, 졸업증서

 

모곡학교 졸업 및 수업증서

 

수업증서

 

수업증서

 

수업증서

 

상장

 

모곡학교 상장 

 

상장

 

독립만세를 외치는 모곡학교 학생들  (출처- 종교교회사) 

 

모곡학교 졸업사진

 

무궁화운동과 십자가당 사건

 

무궁화운동과 십자가당 사건 

 

무궁화운동과 십자가당 사건 재판 기록 20권

 

무궁화운동과 십자가당 사건 취조장면 (디오라마)

의견서

 

남궁억 활동, 집필 책자

 

관동학회, 현산학교 설립

 

독립신문, 황성신문 

 

독립신문 발행

독립신문 

독립신문 

독립신문

 

황성신문 사장 남궁억

 

황성신문

 

황성신문 

 

남궁억이 지은 노래 

 

남궁억이 지은 노래 

 

남궁억이 지은 노래

 

 

남궁억이 지은 노래

 

 남궁억이 지은 노래

 

 

남궁억이 지은 노래 

 

<소 전시관>

  

  

  

  

1948년 태극기 

 

 

 

 

 

 

 

 

 

 

 

<모곡예배당- 복원>

복원 된 모곡예배당      

 

기념관 옆으로 말끔히 복원된 옛 모곡교회당 건물이 있다. 한서교회의 옛 이름인 모곡교회당에는 마찬가지로 남궁 선생의 정신이 표현된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데, 가운데 흰 천을 중심으로 남녀가 따로 앉아 예배를 드리던 모습이 인형으로 재현되어 있다.

 

복원 된 모곡예배당 

 

복원 된 모곡예배당 

복원 된 모곡예배당 

 

복원 된 모곡예배당 강단

 

모곡예배당 천장

 

기념관 관장의 해설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남궁억 상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원래 이 놀이는 보이는 적군을 물리친다는 의미였다.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남궁억 친필 사본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남궁억 친필 사본

 

모곡예배당 내부, 남 녀 구별 좌석 모형   

 

모곡예배당 내부 조형물

 

모곡예배당 내부

 

모곡예배당 내부 옛 풍금

 

모곡예배당 내부 남궁억 친필 사본

 

 무궁화동산

 

 

남궁억 장로 기념비

남궁억 장로 기념비

 

남궁억 장로 기념비

 

한서교회

 

 한서교회 제단

 

한서교회 내부

 

 한서교회 내부

 

 

남궁억 묘역 기념비

 

남궁억 묘역

 

남궁억 묘역 

 

유리봉 남궁억 선생 묘소    

  

한서교회 뒤쪽에 있는 한서초교의 정문을 끼고 왼편으로 돌면 한서 선생의 무덤이 있고 그 뒤로 300여개의 나무 돌계단을 올라가면 그가 매일 새벽기도를 드렸던 유리봉 정상이다. 기도하는 한서 선생의 기념동상이 세워져있다.  묘비에는 정3품칠곡부사라고 묘비에 씌여있다. 민족위인들의 성역화사업 때 묘를 만들었다고 한다.

 

유리봉 남궁억 선생 묘소    (출처- http://blog.empas.com/njcho56/ ) 

   

묘비에는 정3품칠곡부사라고 묘비에 씌여있다.

 

남궁억 장남 묘

 

남궁억 장남 묘

 

기도 동상

 

한서 선생의 무덤 뒤로 300여개의 나무 돌계단을 올라가면 그가 매일 새벽기도를 드렸던 유리봉 정상에 기도하는 한서 선생의 기념동상이 있다. 

 

무궁화공원     

 무궁화공원 남궁억 상

 

무궁화공원 남궁억 상

 

무궁화공원 남궁억 상 

 

무궁화동산의 무궁화       (사진제공- 한서교회 현재호 목사) 

 

무궁화의 "무궁"은 "목근" 이라는 한자음이 변한 순 우리말로 "영원히 피고 또 피어 지지 않는 꽃" "영원 무궁토록 빛나 겨례의 환한 등불이 되어질 꽃" 이란 의미를 갖고있다. 무궁화는 국내 품종만 100종이 넘는다. 우리 무궁화는 생명력이 강하고 1년에 한 그루에서 2-3 천 송이의 꽃을 피운다. 무궁화는 5천년 우리 민족 시작과 함께 했는데 일제 강점기에는 구국정신의 표상이었다. 남궁억 선생은 우리 꽃 무궁화로 우리 민족의 광복에 대한 의지를 승화시켰고 민족혼 고취에 큰 공헌을 하였다.

 

자단심계, 자주색 꽃잎에 붉은 중심부가 있는 꽃   

 

 

 

 

청단심계, 푸른색 꽃잎에 단심이 있는 꽃

 

배달계, 흰색의 무궁화로 배달민족에서 유래

 

백단심계, 힌색의 꽃잎에 붉은 중심부(단심)가 있는 꽃, 정절과 지조를 상징  

출처 : 21세기드림교회
글쓴이 : 주진복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