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cafe.daum.net/sipha/5ezP/160?q=%E3%FD%DD%D5%EE%A4%E5%EA&re=1
심부재언(心不在焉)
[요약] (心: 마음 심. 不: 아닐 부,불. 在: 있을 재. 焉: 어찌 언)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정신을 딴 데 팔고 있다는 의미.
[출전]《대학(大學)정심장(正心章)》
“..... 이른 바 몸을 닦는 것(修身)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있다는 것은 몸에 분해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근심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
마음이 있지 아니하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이것이 이른 바 몸을 닦는 것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데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누구나가 실생활을 통해 체험하고 있는 사실이므로 설명이 필요치 않다. 한 마디로 말해서 마음이 딴 데가 있으면 행동이 참된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공자는 제(齊)나라로 가서 소(韶)라는 악곡을 들으며 석 달 동안이나 고기 맛을 몰랐다고 한다. 이것은 마음이 음악에 가 있어서 먹어도 그 맛을 모른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또 송대(宋代)의 정명도(程明道)와 정이천(程伊川) 두 형제가 어느 대신의 생일 초대를 받아 갔을 때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술상이 물러나고 기생들의 노래와 춤이 시작 되었다.
이제는 돌아갈 사람은 돌아가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근엄한 정이천은 기생들의 노래와 춤이 듣기 싫고 보기 싫어 마치 가시방석에 앉은 기분이었다.
그러나 형님인 명도가 일어나지 않으니 먼저 일어날 수도 없는 일이다.
그래서 형님 눈치만 보고 있는데 명도 선생은 즐거운 표정으로 가만히 바라보고만 있지 않겠는가.
이튼 날 이천은 명도에게,
“형님, 어제 기생들이 노래 부르고 춤출 때 왜 그만 일어나시지 않고 끝까지 계셨습니까?”하고 책망 비슷하게 물었다. 그러자 명도는,
“나는 어제 기생의 노래와 춤이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았는데, 너는 오늘까지도 그것을 생각하고 있단 말이냐.”하고 의아한 눈으로 아우를 보았다는 것이다.
명도는 성인의 경지에 이른 분이었다고 한다.
명도는 마음이 다른 데 있었기 때문에 기생의 노래와 춤이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았던 것이다. 이것은 마음이 없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특이한 예라 하겠다.
'경영관리 > 대화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덕담 자료 (0) | 2016.02.08 |
---|---|
소와 개와 원숭이 그리고 사람 (0) | 2016.01.07 |
<그래픽>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 (0) | 2016.01.05 |
외국인, 나에게 한국이란…어메이징·꿈·K팝 (0) | 2016.01.01 |
[스크랩] 미소의 종류_팬 아메리카 미소 VS 뒤센미소 (0) | 2015.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