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벌린 패러독스'(The Abilene Paradox)
'머리는 'No'라고 하는데 입은 'Yes'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를 두고 '애블린 패러독스'라고 하는데 한 경영학자(조지 워싱턴대 경영학과 교수)의 주장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그는 머리로는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가슴으로는 그렇다고 말한다."
-자크 프레베르
2. 1974년 7월 오후, 텍사스 주 콜맨의 여름은 온도가 섭씨 40도에 육박할 정도로 무더웠다. 게다가 서부 텍사스 특유의 흙먼지가 날리고 바람도 거세게 불었다. 오랜만에 처가를 방문한 저자(제리 하비)는 가족들과 함께 선풍기 앞에 모여 앉아 레모네이드를 마시며 도미노 게임을 하고 있었다.
그러자 장인어른이 모처럼 처갓집을 방문한 딸네가 따분해 할까 봐서 "우리 애벌린에 가서 외식이나 하고 오지"라고 말한다. 저자는 내심 놀랐다. "뭐? 이런 날씨에 애블린을 가... 말도 안돼. 85킬로미터나 되는 거리를 흙먼지를 뒤집어 쓰고 에어컨도 없는 58년형 뷰익을 타고?"
그러나 아내는 냉큼 "좋아요. 가서 저녁이나 먹고 오죠.
제리, 당신 생각은 어때?..."
애벌린에 도착했을 무렵, 우리는 살을 태울듯한 뜨거운 열기 때문에 땀과 먼지로범벅이 돼 있었고, 카페테리아의 음식은 소화제 광고 소품으로나 쓰면 제격일 정도로 형편없었다. 그렇게 왕복 170킬로미터를 달려 4시간쯤 지난 뒤 우리는 더위에 지칠 대로 지친 상태로 다시 콜맨에 도착했다. 그리고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모두 선풍기 앞으로 달려가 한참을 앉아 있었다.
3.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나는 썰렁한 분위기를 깨기 위해 예의상 이렇게 말했다. "오늘 외식, 그런대로 괜찮았죠?" 하지만 아무도 대꾸를 하지 않았다. 잠시 후, 장모님이 짜증 섞인 목소리로 입을 열었다.
"솔직히 말해서 난 하나도 안 좋았네. 집에 그냥 있을 걸 그랬어. 나는 이 양반하고 너희들이 애벌린에 가고 싶다기에 따라 갔을 뿐이거든. 모두가 가고 싶어 하지만 않았어도 안 갔을 거야."
4. 나는 기가 막혔다.
"모두라니, 무슨 말씀이세요? 저는 그 모두에서 빼주세요. 저야말로 가고 싶지 않았어요. 장인 장모님과 이 사람이 가고 싶어 하니까 할 수 없이 따라간 거라고요."
그러자 아내가 어처구니 없다는 표정을 지으면 말했다.
"왜 날 탓해요? 당신하고 아빠 엄마가 가고 싶어 한 거잖아요."
5. 마침내 장인 어른도 입을 떼셨다.
이쯤 되면 이 분이 무슨 말씀을 하실지는 안 들어도 뻔했다.
"이것 봐, 나라고 애벌린에 가고 싶었겠어? 그냥 모두 따분해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을 뿐이야. 딸 내외가 모처럼 내 집에 왔는데 난 그저 즐겁게 해주고 싶었을 뿐이라고. 나야말로 도미도 게임이나 하고 냉장고에서 음료수나 꺼내 먹으면서 편하게 쉽고 싶었단 말이야."
우리 네 사람, 분별력 있는 성인인 우리 네 사람이 결국 누구도 가고 싶어 하지 않았던 애벌린에 다녀왔던 것이다.
6. 수많은 조직들이 실제로 댈러스나 휴스턴, 도쿄에 가고 싶어하면서도 '애벌린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 그렇게 본인의 의사와는 달리 잘못된 행선지를 선택했을 때, 조직의 구성원들이 겪어 하는 고통과 경제적 손실은 우리 네 식구가 애벌린에서 외식을 했던 것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컸다.
나는 조직 구성원들이 아무도 원치 않는 여행을 하는 그러한 성향을 '애벌리 패러독스'(The Abilene Paradox) 라고 부른다. 어느 조직이 애버린 패러독스에 빠지게 되면 그 조직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행동을 취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대개의 경영 이론 전문가들은 갈등관리가 조직이 직면한 가장 큰 난제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애버린 패러독스의 논리에 따르면 합의관리를 하지 못함으로써 조직이 기능장애에 빠지는 게 더 큰 문제다.
-출처: 제리 하버, (생각대로 일하지 않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