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서 가까운 이 깊은 밤
천지를 울리던 우레 소리들도 이젠
마치 우리들의 이마에 땀방울이 걷히듯
먼 산맥의 등성이를 넘어가나 보다
역시 나는 자정을 넘어
이 새벽의 나른한 시간까지는
고단한 꿈길을 참고 견뎌야만
처음으로 가을이 이 땅을 찾아오는
벌레 설레이는 소리라도 귀담아 듣게 되나 보다
- 박성룡 ‘처서기(處暑記)’
두보(杜甫)는 가족과 떨어진 채 전란에 치여 떠돌다 47세 때 성도(成都)에 이른다. 그는 가족을 불러모아 장강(長江) 지류 완화계(浣花溪)가에 땅을 얻고 완화초당(草堂)을 짓는다. 집이라야 이름처럼 소박한 초가여서 비만 오면 띠 지붕이 샜어도 생애에서 가장 달콤한 2년 반의 휴식이 이때부터 시작된다. 그의 시도 평온하고 부드러운 정취로 바뀌어 읽는 사람까지 편안하다.
‘맑은 강 휘어 마을 안고 흐르고(淸江一曲抱村流) 긴 여름 강마을 일마다 한가롭다(長夏江村事事幽)/ 제비는 멋대로 처마를 나들고(自去自來梁上燕) 갈매기는 가까이 가도 날아갈 줄 모르네(相親相近水中鷗)/ 늙은 아내는 종이에 바둑판을 그리고(老妻畵紙爲棋局) 아이는 바늘 두드려 낚시를 만든다(稚子敲針作釣鉤)….’ 완화계 시절 명편 ‘강촌(江村)’엔 시간이 멈춰버린 듯 정밀(靜謐)하고 긴 여름 낮이 있다. 가을이라기엔 아직 이르고 여름이라기엔 너무나 신선하고 맑은 오후, 여름의 끝이다.
‘8월 중순을 지나면 갑자기 가을 기운이 느껴지는 날들이 있다. 날은 선선하고 햇빛은 유달리 밝고 찬란하다. 아직 따갑지만 한결 부드러워진 여성적 빛이다.’ 윌리엄 포크너는 이 빛을 제목 삼아 장편 ‘8월의 빛’을 썼다. 주인공 조 크리스마스는 살인을 저지른 대가로 거세된 뒤 평화롭게 주변을 응시한다. 욕정과 폭력이 뜨겁게 난무하는 삶의 복판 여름을 지나 생의 언저리, 가을의 초입에서 인생을 지혜롭게 보는 눈을 얻는다.
‘처서 가까운 이 깊은 밤/ 천지를 울리던 우레 소리들도 이젠/ 마치 우리들의 이마에 땀방울이 걷히듯/ 먼 산맥의 등성이를 넘어가나 보다// 역시 나는 자정을 넘어/ 이 새벽의 나른한 시간까지는/ 고단한 꿈길을 참고 견뎌야만/ 처음으로 가을이 이 땅을 찾아오는/ 벌레 설레이는 소리라도 귀담아 듣게 되나 보다/… // 처서 가까운 이 깊은 밤/ 나는 아직은 깨어 있다가/ 저 우레 소리가 산맥을 넘고, 설레이는 벌레 소리가/ 강으로라도, 바다로라도, 다 흐르고 말면/ 그 맑은 아침에 비로소 잠이 들겠다// 세상이 유리잔같이 맑은/ 그 가을의 아침에 비로소/ 나는 잠이 들겠다.’
- 박성룡 ‘처서기(處暑記)’
8월 하순의 처서는 글자 그대로 더위(暑)를 치워 들어앉힌다는 절기(節氣)다. 처서는 “땅으론 귀뚜라미 등에 업혀 오고 하늘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고 했다. 처서엔 “모기도 입이 비뚤어져 모진 성화를 그친다”고도 했다. 파리, 모기 사라지고 귀뚜라미가 하나 둘 나오기 시작한다.
지난 여름은 유난스럽게 모질었다. 장마 끝난 뒤로도 게릴라성 호우니 국지성 호우니 하는 물폭탄을 쏟아부었다. 8월 들어 보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비가 오느라 서울의 하루 평균 일조(日照) 시간이 한 시간밖에 안 됐다. 비가 와도 서늘하지 않고 되레 후텁지근해 한반도에 아열대 우기(雨期)가 닥친 게 아니냐고들 걱정할 지경이었다. 그 ‘우울(雨)’한 날들이 겨우 그친 뒤엔 때아닌 폭염이 처서 지나도록 열흘 넘게 이어졌다. 여름내 하늘을 원망하던 해수욕장들은 폐장을 늦추고 밑진 여름 장사를 그나마 끝물에야 조금 만회했다. 개학을 연기하는 학교들도 잇따랐다.
하긴 그 맹렬하던 여름의 화염이 게눈 감추듯 그저 한순간에 사그러들지는 못할 것이다. 오규원은 ‘8월이 담장 너머로 다 둘러메고/ 가지 못한 늦여름이/ 바글바글 끓고 있는 뜰 한켠’(9월과 뜰)이라고 노염(老炎)을 노래했다. 백거이(白居易)도 ‘남은 더위에 객을 청하다(殘暑招客)’에서 ‘누가 늦더위 씻어주리오(誰能淘晩熱) 간간이 두어 잔 술을 마시네(間飮兩三杯)’라고 읊었다.
그래도 거스를 수 없는 것이 계절이다. 어느 순간 창문을 닫고 자야 하는 서늘한 밤이 거짓말같이 찾아들었다. 그 혹독한 무더위가 언제였나 싶게 보송보송한 자리에서 사람들은 모처럼 깊은 잠을 누렸다. 유리잔처럼 말간 서울 하늘을 보면서는 찬탄과 함께 좌절도 맛보았다. 우리가 그간 얼마나 혼탁한 속에서 숨쉬고 살아왔나를 새삼 깨닫는 좌절이다.